[관가 뒷談] 공무원에 불똥튄 ‘성희롱’ 주의보
입력 2013-05-12 17:47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으로 관가에 후폭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각 정부부처는 성희롱 예방교육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등 집안 단속에 나서고 있다. 특히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한 부처는 불미스러운 일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특별교육’도 준비 중이다.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는 직원이 많아서다.
지난 10일 윤 전 대변인 사건이 언론에 알려진 직후 열린 국무회의에서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공무원 성희롱 예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개인적으로 친분이 두터운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기재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 예방교육을 권했고, 현 부총리는 긍정적 답변을 내놨다고 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12일 “현 부총리가 취임 직후에도 성희롱 예방교육 이행 여부를 점검한 적이 있다”며 “상반기 중 전문 강사를 초빙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예방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무원은 공공기관의 성희롱 예방지침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연 1회, 1시간 이상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전체 직원을 한 곳에 모으기 어렵다 보니 대면교육보다는 대부분 사이버 교육 등으로 대신한다.
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재부를 포함해 각 부처가 대면교육 실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분위기다. 다음달 19일부터는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법률’ 개정으로 공무원은 성희롱 교육과 별개로 성폭력 예방교육도 연 1회 이상 받아야 한다.
교육 강화와 별개로 국장 등 간부급은 나름대로 성희롱 예방을 위한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처신에 더욱 신경쓰고 있다. 세종청사 부처의 한 국장은 “여직원이 결재를 받으러 들어오면 일부러 방문을 열어놓는다”고 나름의 처신 방법을 밝혔다.
또 다른 과장은 “세종시에서 혼자 생활하다 보니 야근하는 경우가 잦지만 부하 여직원과 단 둘이 남는 상황은 피한다는 스스로 철칙을 세워놓고 있다”고 말했다. 성희롱 사건의 경우 음주와 관련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세종시 정부부처 내 회식도 줄어드는 추세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