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후진적 산업안전사고 언제까지 되풀이할 셈인가
입력 2013-05-10 19:01
오늘 새벽 충남 당진 현대제철에서 전로 보수공사를 하던 협력업체 근로자 5명이 아르곤 가스가 새어 나오면서 산소 부족으로 질식해 숨지는 사고가 또 일어났다. 요즘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나오는 산업현장 안전사고는 국내 기업들이 돈 버는 데만 급급했지, 산업현장 안전이나 인명은 소홀히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번 사고 역시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켰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인재(人災)다.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안전모 등 기본 장구는 착용했지만 가스 누출 등에 대비한 산소마스크 등은 쓰고 있지 않았다고 한다. 올 들어 두 차례의 삼성전자 화성반도체공장 불산 누출 사고와 SK하이닉스 청주공장의 염소가스 누출 사고 등을 겪고도 정신을 못 차렸다.
더 큰 문제는 최근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도 방관하고 있는 현대제철이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는 지난해 9월 이후 한 달에 한 번꼴로 8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11명의 근로자가 숨지고 1명이 의식불명에 빠졌다. 고로 3기의 공사기간을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하면서 참사가 잇따르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당국의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함은 물론 관련자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산업재해를 근절할 수 있는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자 수는 9만여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3시간에 한 명꼴로 사망자가 생기고, 5분에 한 명씩 다친다. 기업들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데 대해 반발만 할 게 아니다. 이제는 후진국형 안전사고를 내면 회사가 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영국은 2007년 산재사망 시 살인죄를 적용하는 기업살인법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돈만 벌면 된다”는 삼성전자 사장 같은 안전불감증으론 일류 기업에서 추락하는 것은 순식간이고, 산업재해공화국 오명도 영원히 못 벗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