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여성·청년 참여 늘어야 교회정치 회복”… 기윤실, 목회자와 교회정치 심포지엄

입력 2013-05-09 17:44

한국교회의 정치풍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회 내 집사와 여성, 청년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교회재정 사용과 교회법 적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 9일 서울 명동 청어람에서 ‘목회자와 교회정치’를 주제로 개최한 ‘목회자윤리 연속 심포지엄’에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교회정치문화 개선 방안이 제시됐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장로회신학대 임성빈(기독교와문화) 교수는 건전한 교회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가 가진 자원을 권위 있게 배분하는 행위가 ‘정치’라는 점에서 전 세계 인구의 5분의 1에 달하는 교인 수와 물적 자원의 잠재 역량이 건설적인 영향력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교회·교단의 건전한 정치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그러나 “한국교회의 현실은 건설적 정치보다는 개인과 지역, 학연, 정파적 집단의 유익을 위주로 하는 파당적 정치현상이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국교회의 지도력이 하나님 나라 중심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비본질적 목표에 맞춰졌다는 지적이다.

임 교수는 또 “한국의 경우 평신도 교역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직제가 권위주의로 흐를 위험성이 있다”면서 “특히 장로 안수를 기다리는 자리쯤으로 이해하고 있는 안수집사 등 집사 직분의 사역 범위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더불어 여성과 청년층이 교회 내 정치행위에 적극 참여토록 하고, 교회 내 항존직(목사·장로·권사·안수집사)에 대한 임기제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형은 성락성결교회 목사는 “돈과 법은 한국의 교회정치와 불가분의 관계”라며 “교회나 교계 기관의 재정에 대한 표준적 감사시스템을 마련하는 한편 교회법의 경우 처벌에 대한 법적인 장치가 좀 더 치밀하고 실제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 목사는 일반 사회법의 적용에 대해서도 종교문제를 어느 선까지, 어떤 기준에 근거해 다룰 수 있는지 시급히 연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독경영연구원 배종석 원장은 “한국교회의 낮은 정치문화 수준은 정체성의 결핍에서 비롯됐다고 본다”면서 “체제와 전통, 관행을 아무런 고민 없이 맹목적으로 따르는 건 정당성을 갖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교회 구성원 모두가 ‘코람데오(하나님 앞에서)’라는 신전의식(神前意識)을 품고 하나님께 영적 지혜와 분별력을 구할 때 교회 정치는 회복될 수 있다고 배 원장은 강조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