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 세계평화공원 만들겠다”…朴대통령, 美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서 밝혀
입력 2013-05-09 00:17 수정 2013-05-09 00:47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오전(한국시간 8일 밤)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통해 정전협정 60주년을 상징하는 비무장지대(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은 2011년 10월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1년7개월 만이다.
박 대통령은 “DMZ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이지만 이제는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진정한 비무장지대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유지해가면서 DMZ 내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기반 구축(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서울프로세스), 지구촌 이웃들의 평화 번영을 위한 기여를 한·미 양국의 3대 비전으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지속적인 도발 위협으로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흔들고 있지만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토대로 한국 정부의 위기관리 역량이 지속되는 한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서울프로세스 구상을 피력하며 “역사에 눈 감는 자는 미래를 보지 못한다고 했다.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지 못하는 것은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내일이 없다는 것”이라며 일본의 우경화와 역사 왜곡을 지적했다. 특히 “미래 아시아의 새 질서는 역내 국가 간 경제적 상호의존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협력은 뒤처진 소위 ‘아시아 패러독스’ 현상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선진적이고 호혜적으로 한·미 원자력 협정이 개정된다면 양국 원자력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의회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미 동맹은 앞으로도 한반도와 아시아의 평화, 안정을 위한 린치핀(linchpin)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양국 동맹이 한반도 안전의 보루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재래식 위협에 대한 대북 억지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맥락에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역시 한·미 연합 방위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준비된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우리는 안보 위협에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며 “만일 북한이 미국과 한국 관계에 틈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늘 회담은 북한이 실패했다는 증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