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도전 쉬운 벤처 생태계 구축할 것”
입력 2013-05-08 19:07
정부가 창조경제를 꽃피울 핵심정책으로 ‘벤처 창업 생태계 구축’을 뽑아 들었다. 경제 살리기를 위한 ‘정책조합(폴리시 믹스·Policy Mix)’ 추진이 2단계에 돌입한 것이다. 이미 추가경정예산안 확정을 기점으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시한 정책조합의 뼈대는 마련됐다.
현 부총리는 8일 서울 구로동 한국벤처기업협회에서 벤처기업인 간담회를 열고 “벤처기업은 창조경제의 싹이며 제2경제부흥의 밑거름이 되는 귀중한 자원”이라며 “‘창업-성장-회수-재투자 및 재창업’으로 이어지는 벤처 창업 생태계 구축이 긴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주택시장 정상화 종합대책, 추경예산 편성 다음으로는 벤처기업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벤처기업이 창조경제의 아이콘이 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달 중순 발표 예정인 벤처 활성화 대책은 벤처기업에 대한 다각적인 금융·세제 지원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기재부는 현재 30% 수준인 에인절투자자(기술은 있지만 자금이 부족한 벤처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투자자) 소득공제율을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기업 인수·합병(M&A)에 부과되는 양도세, 증여세를 경감해주는 세제지원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 부총리는 “에인절투자자, 벤처캐피털과 같이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모험자본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적 금융·세제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담보에 의존하는 융자 중심의 자금조달 환경에서는 창의적인 도전이 어렵다고 보는 것이다.
또 정부는 모험기업이나 혁신기업에 대한 투자자금이 원활히 공급되는 자본시장을 만든다는 차원에서 코스닥 시장의 진입 문턱을 낮추고,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를 신설한다. 산업 융·복합의 첨병인 벤처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각종 규제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공정거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M&A 촉진 등 관련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