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횡포 꼬리에 꼬리… 대형마트 계약 따려 대리점에 마트상품권 떠넘겨
입력 2013-05-08 18:07
‘밀어내기’ ‘떡값 요구’ 등에 이어 남양유업 본사가 대형마트와의 계약 체결을 위해 대리점주들에게 상품권을 강매하는 등 로비 부담을 떠넘겼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지방에서는 남양유업의 제품 ‘밀어내기’ 관행이 여전하다는 제보도 이어졌다.
남양유업 본사 지점은 대형마트와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마트 상품권을 받아 대신 팔아주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사는 이렇게 떠안은 상품권을 대리점주들에게 떠넘기고 현금을 챙겼다는 증언이 나왔다. 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꿔가는 이른바 ‘상품권깡’을 한 것이다. 제주 연동대리점을 운영했던 전상관(45)씨는 8일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대리점에는 명절마다 ‘깡’을 해야 할 상품권이 40만원 정도 할당됐다”며 “받은 상품권은 다음날 바로 현금화해 본사에 전달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를 거부하거나 현금화가 지연되면 곧바로 ‘밀어내기’ 보복이 이뤄졌다고 했다. 전씨는 “상품권깡을 거부하면 다음번 밀어내기 물량이 더 많이 쏟아져 나와 대리점주들 사이에서 ‘상품권깡’은 당연한 일이 됐다”고 말했다.
대형마트의 매출 실적을 올려주는 로비에 대리점주들이 조직적으로 동원됐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기도 고양시 화정대리점을 운영했던 유경현(47)씨는 “명절이면 ‘마트에 잘 보여야 하니 명절에 ○○마트에 가서 물건 좀 팔아줘라’하는 주문이 내려온다”고 말했다.
실제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했는지 여부도 본사가 철저히 사후 감시했다고 한다. 유씨에 따르면 대리점주들은 지정된 마트에 가서 할당된 금액만큼 물건을 산 뒤 영수증을 그 증거로 남양유업 지점에 제출해야 했다. 유씨는 “우리가 제출한 영수증으로 본사 직원이 마트에 가서 ‘우리가 이만큼 팔아줬다’며 생색내기를 했고, 계약 물량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씨의 경우 대형마트 두 곳에 납품을 하는 상황이어서 명절마다 60만원씩 물건 구매에 지출해야 했다. 밀어내기 압박으로 현금이 부족해 이를 거부하자 “본사 직원이 ‘선생님, 자꾸 그러시면 물건(밀어내기)으로 보답하겠습니다’라고 압박을 가해왔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탄이 계속되는데도 남양유업 본사는 여전히 제품 ‘밀어내기’를 계속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기도 고양시 대리점을 운영했던 최근훈(50)씨는 “현재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상도·제주도·전라도 지역의 점주들에게서 ‘밀어내기’가 여전히 이뤄지고 있다는 연락이 들어오고 있다”며 “남양유업이 사회적 비난에 대해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있다는 증거”라고 비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