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로당서 노인상대 휴대전화 사기
입력 2013-05-08 14:46
[쿠키 사회] 수도권 경로당을 돌며 수집한 노인들의 개인정보로 휴대전화를 개통한 뒤 불법으로 유통한 일당 13명이 경찰에 적발됐다.
경기경찰청 광역수사대는 8일 상습사기, 사문서 위조 및 행사 등 혐의로 조모(30)씨 등 4명을 구속하고, 강모(28·장물업자)씨 등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조씨 등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노인과 장애인 등 200여명의 명의를 도용, 휴대전화 450여대를 개통한 뒤 장물로 팔아 4억여 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노인과 장애인의 경우 명의를 도용당해도 피해 사실을 눈치 채지 못한다는 점을 노렸다.
휴대전화 판매점 종업원으로 일했던 조씨 등은 지난해 10월 안산지역 조직폭력배로부터 김모(37·구속)씨를 소개받고 범행을 모의, 개인정보 수집에 들어갔다. 김씨는 이후 두 달여 간 경기·인천지역 경로당을 돌며 봉사활동을 가장해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기행각을 벌였다. 그는 노인들에게 라면 3봉지, 세제, 계란 등을 나눠주고 “근거를 남겨야 한다”며 신분증을 건네받아 스캐닝을 하는 등 개인정보를 확보했다. 자신이 가입된 시흥의 한 장애인협회에서도 동료 장애인들의 신분증을 복사해 개인정보를 챙겼다.
김씨로부터 노인 등 200여명의 개인정보를 입수한 조씨는 전북 군산에 바지사장을 내세워 휴대전화 판매점을 개업한 뒤 노인 등의 명의로 휴대전화 450여대를 개통했다.
조씨 등은 휴대전화 단말기를 대당 42만∼60만원 받고 장물업자 강씨 등을 통해 외국으로 넘겼다. USIM칩은 대포폰 업자 등에게 개당 25만원에 팔았다.
이렇게 유통된 노인 명의 대포폰 중에는 성인용 유료전화나 국제전화를 많이 이용해 한 달 전화요금이 238만원 나온 경우도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미납요금 채무가 돌아가지 않도록 통신사 측에 ‘명의도용’ 사실을 신속히 확인해 주고 있다”며 “하지만 채무는 ‘휴대전화 판매점’을 관리하던 이동통신사 직영대리점 3곳으로 떠넘겨져 업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됐다”고 설명했다.
수원=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