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대·기아차 노조, 언제까지 잇속만 챙길 텐가
입력 2013-05-07 19:12
현대·기아차 노조의 이기주의가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제 밥그릇만 챙기려는 노조 때문에 현대·기아차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노사 합의안을 노조 대의원 대표들이 뒤집고, 정년연장안까지 들고 나온 노조를 보면 회사 장래가 암울하기만 하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26일 1인당 주말 특근수당을 노조 요구액의 96.2%인 21만원에 합의했다. 이 금액은 근로기준법을 적용한 것보다 7만원가량 많다. 그런데도 노조 대의원 대표들은 문용문 지부장이 직권 조인을 했다며 합의를 사실상 백지화했다. 현대차 노조에서 큰 목소리를 내는 7개 분파 가운데 3개 분파가 오는 9월 노조 지부장 선거를 앞두고 집행부 흔들기에 나선 것이다. 이들 분파는 조합원이 4만4000여명에 이르고 연간 조합비 200억원을 주무르는 노조 지부장에 자기 사람을 당선시키기 위해 선명성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차는 주간연속 2교대제를 시행한 3월 초부터 9주째 특근을 못하고 있다. 노사 대립을 넘어 노노 갈등이 회사의 발목을 잡은 것이다. 현재 현대차 국내외 공장에는 내수·수출용으로 37만대에 가까운 주문이 밀려 있는 상태다. 또 현대차 전주공장은 연간 10만대 생산규모를 갖추고도 트럭 생산 라인에서 1조 1교대 근무를 고집하는 바람에 생산량이 6만대 안팎에 머물고 있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지난해 2800억원을 들여 증산설비공사를 마쳤지만 노노 갈등과 노사 협의 지연으로 공장 설비가 놀고 있다.
이런 파행으로 인해 국내외에서 납기 지연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알제리 러시아 터키 칠레 페루 등에서는 고객이 등을 돌리고 있고, 쿠웨이트에서는 납기 지연에 따른 페널티까지 물었다. 사정이 이런데도 현대차 노조는 올 임·단협에서 정년을 61세로 늘리는 안을 사측에 제시할 방침이다. 사실상 60세 정년을 시행 중인 현대차 노조가 정년연장법의 국회 통과를 계기로 1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재계는 이 노조의 주장이 다른 기업으로 번질 것을 우려한다.
현대차의 노동 강도는 베이징현대나 미국 앨라배마 공장보다 훨씬 낮다. 파업을 하고도 사측을 압박해 이런저런 구실로 돈을 뜯어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정부가 노후차 세제지원에 국민 혈세 6435억원을 투입했고, 그해 이익금으로 현대·기아차는 직원들의 배를 불렸다.
엔저에 힘입은 일본 자동차 업계는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현대·기아차 노조가 지금처럼 제 잇속만 좇으면 회사가 무너진다. 그렇게 되면 노조나 조합원도 설 땅이 없다. 회사를 반석 위에 올려놓고 근로자 몫을 요구해야 한다. 사측도 더 이상 노조에 끌려다니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