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친환경·IT 분야 노려라
입력 2013-05-07 17:11
중국이 추진하는 ‘신형 도시화’는 한국 기업들에 어떤 기회를 줄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도시화에 따라 소비시장 규모가 확대된다고는 하지만 중국 기업의 경쟁력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만큼 치밀한 사전 조사에 따른 업종 선택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우선 교통·통신, 친환경 산업, 스마트 도시 건설, 보안 산업, 의료·보건 서비스, 교육·문화 분야 등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고 말했다. 교통·통신 분야의 경우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지하철 역무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교통서비스 시스템 등에 있어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봤다.
LH공사 베이징주재관 전을호 소장은 “신형 도시화 과정에서 녹색·친환경을 강조하는 만큼 첨단 환경관련 기업의 경우 진출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며 폐기물처리 설비나 단열재 등 친환경 건축자재 분야를 그 예로 들었다.
특히 중국 당국은 도시 신축 건물에 대해 에너지 50% 절약 강제 기준을 적용함에 따라 에너지절약 건축 시장이 유망한 것으로 꼽힌다. 그러나 토목 건축분야는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중국 업체가 자체적으로 충분히 소화할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전 소장은 진단했다.
이에 비해 IT와 결합한 스마트 도시(U-시티) 분야는 전망이 좋은 편이다. 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중국팀장은 “2012년 기준 스마트 도시의 IT 투자 규모는 1056억 위안(약 18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며 “이 분야는 매년 25% 이상 성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스마트 도시 건설 계획이 있는 도시는 200여 곳에 달한다”며 “12·5 계획 기간 중 스마트 도시 건설에 5000억 위안(약 89조원)이 투자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시 인구 증가에 따라 소비구조가 바뀌면서 가전제품 등 내구 소비재, 주방 기구 등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황재원 코트라 베이징무역관 부관장은 “IT 보안 관련 분야는 중국이 약하므로 한국 기업에 유리할 것”이라면서 “외식업 프랜차이즈나 문화 및 교육 분야도 관심 대상”이라고 말했다. 황 부관장은 “대기업의 경우 중국 현지 기업과 공동으로 프로젝트 시장에 진출할 필요가 있지만 중소기업은 중국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에 따라 파생되는 설비나 소프트웨어 구축에 현지 기업과 함께 참여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