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공정위 부위원장 인사 ‘함흥차사’

입력 2013-05-06 18:49


공정거래위원회 정재찬 부위원장은 2년 넘게 현직에 있다. 2011년 1월 3일 함께 임명장을 받았던 김동수 전 위원장은 이미 떠났다. 노대래 위원장보다 행정고시 두 기수 선배가 부위원장에 앉아 있는 어색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부위원장은 위원장을 보좌하면서 손발을 맞춰야 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통상 위원장과 동시에 임명되거나 위원장 취임 뒤 1주일 안에 인사가 났다. 하지만 이번에는 노 위원장이 임명된 지 2주가 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경제민주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려면 내부전열 정비가 시급한데 노 위원장은 왜 인사를 미루고 있는 것일까.

부위원장 인사가 늦어지는 것은 청와대가 최종결심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유력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부위원장은 각종 사건 처리를 총책임지기 때문에 내부 ‘전문가’가 중용돼 왔다. 한철수 사무처장, 안영호·정중원 상임위원이 일찌감치 후보군에 올랐다. 하지만 청와대가 생각하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간 지역안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청와대는 노 위원장이 충남 서천 출신이라는 것을 감안해 대구·경북(TK)이나 부산·경남(PK) 출신 부위원장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3명은 모두 전북 출신이다. 이 때문에 PK 출신으로 허태열 대통령 비서실장과 고교 동기인 김순종 공정거래조정원장이 유력 후보군으로 떠올랐지만 ‘호남 홀대’ ‘낙하산 인사’ 논란이 부담이다. 낙마한 한만수 후보자(PK 출신)가 됐다면 청와대는 고민 없이 후보군 3명 중 1명을 선택했을 수도 있는데 첫 걸음부터 꼬이면서 ‘인사 퍼즐’이 복잡해진 셈이다.

공정위 안팎에서는 “청와대가 검증하는 과정에서 후보군 중 1명에게서 중대한 하자가 발생했다더라” 등 온갖 ‘카더라 통신’이 난무하고 있다. 공정위는 부위원장 인사가 막히면서 실무진 인사까지 늦춰져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6일 “청와대가 위원장과 부위원장 중 1명은 자기 지역 출신 사람을 앉히고 싶어하는 것 같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에서 돌아온 뒤에야 인사가 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