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뒷談] 겉만 번지르르… 영상회의 생색내기
입력 2013-05-06 18:43
지난해 9월 12일 당시 총리실은 확대간부회의를 서울청사와 세종청사 간 영상회의로 진행하면서 이 모습을 언론에 공개했다. 영상회의를 적극 활용해 행정 비효율을 극복하겠다는 비전을 공표한 것이다. 하지만 영상회의의 활용도는 그때나 지금이나 변화가 없다. 빈도는 물론 공직자들의 인식 역시 마찬가지다.
영상회의는 세종청사시대 공직사회의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였다. 하지만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고 있다. 서울청사와 세종청사 간 영상 국무회의는 두 번 열렸는데 세종청사 이전 후 한 번, 새 정부 출범 후 한 번이 전부다. 지난 2001년 서울청사와 과천청사 간 영상 국무회의가 11차례나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생색내기 수준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서울 체류가 잦은 총리와 국무조정실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총리실 주요 간부들의 업무용 PC에 설치한 웹캠도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웹캠이 설치된 지 20일이 지났지만 지금껏 이 장치를 통해 이뤄진 보고는 단 한 차례에 불과하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6일 “총리와 국무조정실장이 영상보고를 독려하고 있지만 아직 영상보고를 하겠다는 간부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매일 비서실에서 각 실·국의 주요 보고 일정을 취합하지만 대면보고 일정 잡기가 어렵다고 하면 당일 화상보고를 하기보다는 “그러면 다음에 보고하겠다”며 일정 변경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올 연말 추가로 6개 중앙행정기관과 12개 소속 기관이 세종청사로 이전한다.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행정 비효율 논란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불을 보듯 뻔한 결과를 앞에 두고 있음에도 때가 되면 한 번씩 하는 방식으로는 영상회의가 대안으로 각인되긴 힘들다. 국무회의든 차관회의든 영상회의를 정례화할 필요가 있다. 아니면 더 좋은 대안을 내놓든가.
세종=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