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7명도 귀환, 개성공단 끝내 ‘OFF’
입력 2013-05-03 18:07 수정 2013-05-04 01:25
개성공단에 마지막으로 남았던 우리 측 인력 7명이 북한과의 실무협의를 일부 타결하고 3일 오후 전원 귀환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은 가동 9년 만에, 북한의 통행제한 조치 한 달 만에 우리 측 인력이 한 명도 남지 않게 됐다.
정부는 북한과의 실무협의를 통해 북측 근로자 미지급 임금 등 명목으로 1300만 달러(한화 약 142억원)를 지급했다. 항목은 3월분 임금 730만 달러, 2012년도 기업소득세 400만 달러, 통신료와 폐기물처리비 등 170만 달러다.
정부는 남북협력기금에서 이 금액을 떼어내 북측에 전달했으며, 추후 공단 입주업체에 구상권을 청구키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조속한 귀환이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북측이 요구하는 미수금을 지급하고 사후 정산키로 했다”고 밝혔다.
남북은 미수금 정산에는 합의했으나 공단 내 우리 기업들의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은 북측이 동의하지 않아 이뤄지지 못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과 반출 협의를 계속하기로 했다”며 “북측에 추가 협의를 위해 단절된 판문점 채널과 군통신선을 재개할 것을 요구했고, 북측도 반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분간 개성공단에 대한 단전·단수 조치는 하지 않되, 대신 안전을 고려해 전기·용수를 관리하는 우리 측 인원의 개성공단 정기 방문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양호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을 비롯한 관리위 직원 5명과 KT 직원 2명 등 7명은 오후 6시50분쯤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귀환했다. 홍 위원장은 “하루 빨리 공단이 정상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성명을 통해 “공단 입주기업과 협력업체를 위해 범정부적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북한은 남북 합의와 개성공단 관련 법령에 입각해 기업들의 재산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