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지나서야 절반의 명예회복’…동의대 사건 희생 경찰 유족 눈물

입력 2013-05-03 17:56 수정 2013-05-04 02:14

“뒤늦게나마 희생 경찰관들의 명예회복과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 기쁩니다.”(안전행정부 장관)

“다시는 이런 불행 생기지 않도록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합니다.”(유족 대표)

제24주기 ‘5·3 동의대 사건’ 희생 경찰관 추도식 밎 흉상부조 제막식 이 3일 오전 10시30분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에서 열렸다.

추도식에는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 이성한 경찰청장, 허남식 부산시장, 순직 경찰관 유족, 전몰군경 유족회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유 장관은 정부 국무위원으로는 24년 만의 첫 참석자라 이날 추도식의 의미를 더했다. 지난해 8월 23일 순국 경찰관들의 명예회복과 보상을 다룬 법률이 시행된 데 이어 추도식에 국무위원이 공식 참석해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명예회복이 이뤄진 것이다.

유 장관은 “국가질서와 국민의 안녕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해 정부는 반드시 그 명예를 지켜 줄 것”이라며 “앞으로 순직 경찰관 및 유가족에 대한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유족 대표인 고(故) 정영환 경사의 형 유환(54)씨는 “절반의 명예 회복에 불과하지만 이런 자리가 마련되기까지 24년이 걸렸다”며 “불행한 경찰관과 우리와 같은 유가족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순국한 최동문 경위, 박병환 경사, 김명화 수경 등 7명의 흉상이 차례로 공개되자 유족 30여명은 만감이 교차한 듯 울음을 터뜨렸다. 흉상이 들어선 추모공간은 2009년에 마련됐고 2년 뒤 국가 현충시설로 지정됐다.

‘5·3 동의대 사태’는 1989년 5월 3일 경찰이 동의대 중앙도서관에 잡혀 있던 경찰관 5명을 구출하기 위해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화염병에 의한 화재가 발생,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시위에 참여했던 대학생 46명은 2002년 4월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지만, 경찰관의 희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2009년 발의된 ‘동의대 사건 등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2월 국회를 통과하면서 희생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보상의 길이 열렸다.

이날 행사를 지켜본 박재성(60)씨는 “동의대 사태는 경찰과 학생 모두에게 큰 상처를 준 비극적 역사”라며 “희생된 경찰관과 대학생들에 대한 보상과 명예가 상당부분 회복된 만큼 화해의 길로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