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힘모아 엔저 극복을” 산업혁신 3.0 추진 의기투합
입력 2013-05-02 18:26 수정 2013-05-02 22:36
정부가 1차 협력기업뿐 아니라 2·3차 협력기업과의 동반성장을 꾀하는 ‘산업혁신운동 3.0’을 재계에 제안했다. 엔저 위기 극복을 위해선 대한민국 모든 기업의 생산성이 높아져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일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경제 5단체장 간담회에서 일본이 엔고 상황에서 민·관 공동 생산혁신 노력을 전개했던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도 기업의 생산성 혁신을 위한 산업혁신운동 3.0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계는 동참 의사를 밝혔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민관이 힘을 모아 엔저를 극복했으면 한다. 생산성 혁신의 베스트 프랙티스(최적사례)를 조사해 전파해야 한다”고 동의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도 “포스코가 중기 생산성 혁신을 지원한 좋은 사례가 있다. 상의에 중앙추진본부가 구성되면 적극 협조하겠다”고 호응했다.
경제단체들은 대한상공회의소에 중앙추진본부를 설치해 산업혁신 3.0을 총괄하게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어 단체별로 추진본부를 구성하고 전자·자동차·기계 등 3개 업종에서 혁신운동을 먼저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혁신운동 3.0은 대기업이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협력사와도 경영·환경·공정 혁신 성과를 공유해 전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1970∼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을 ‘산업혁신 1.0’으로, 현재 대기업과 1차 협력사 중심의 동반성장을 산업혁신 2.0으로 보고 이를 뛰어넘자는 것이다. 산업부는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에게 업무보고하면서 처음으로 이 용어를 썼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은 대기업의 28% 수준이다.
권기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