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3호선 문제” 감사원 지적에 대구시 반발

입력 2013-05-02 17:59

대구도시철도 3호선 모노레일 차량 선정과정에서 특정업체에 특혜를 제공했다는 감사원 지적이 나오자 대구시가 이에 강력히 반발, 파장이 일고 있다.

2일 감사원의 대구 3호선 감사 결과에 따르면 감사원은 시가 2007년 3호선 차량을 K-AGT(고무 차륜)에서 모노레일로 변경할 때 모노레일이 K-AGT보다 사업비 1934억원이 더 드는데도 오히려 모노레일이 더 경제성이 있는 것처럼 왜곡해 차종을 변경함으로써 5693억원을 낭비했다고 지적했다.

또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가 차량 제작 규격서에 차량 운행 조건으로 일본 H사가 주로 생산하는 제품 규격인 주행빔 규격을 폭 850㎜, 높이 1600㎜로 규정했고 가선공칭전압(차량에 공급하는 전류의 전압)을 1500V로 정해 H사가 단독 입찰하도록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밖에도 시가 3호선의 교통수요를 하루 이용객 25만명으로 예측했지만 재추정 결과 하루평균 승객이 2016년 기준 15만9000여명(63%)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보상비가 적다는 이유로 재해예방 대책이 없이 저수지 아래에 3호선 차량기지를 만들어 홍수 때 최대 2m 높이까지 침수될 위험이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시는 이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대구시 관계자는 “예비타당성조사 당시(2004년)에는 하루 이용객이 25만여 명으로 추정됐고 감사 당시 근거자료였던 2008년에는 15만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K-AGT에서 모노레일로 바뀐 것은 자문위원 19명 중 8명(반대 3명, 기타의견 8명)이 대구지역에 가장 적합한 차량으로 모노레일을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특정업체를 밀어줬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제한경쟁 국제입찰방식으로 구매공고 전 조달청에 사전 15일 간 규격공개를 했지만 다른 차량제작사에서 별도 의견제시가 없었다”고 밝혔다.

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지역 시민단체들부터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대구경실련, 우리복지시민연합, 안전한 3호선 만들기 강북주민모임은 성명을 내고 “대구 3호선은 총체적 부실”이라며 수사기관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