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무역투자진흥회의… 대통령 앞에서 기탄없이 토론하며 ‘손톱 밑 가시’ 뽑기

입력 2013-05-01 19:07 수정 2013-05-01 22:44


박근혜 대통령은 1일 새 정부 첫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향후 국정운영 방식과 경제정책 방향을 한눈에 선보였다. 대통령 앞에서 현장 목소리가 자유롭게 개진되는 가운데 관련 부처 장관을 포함한 경제주체들이 즉석에서 해결책을 논의했다. 또 경제 살리기를 위한 주요 활로를 수출과 투자에서 찾되 기존 대기업 주도형에서 중견·중소기업 상생형으로 바꾸겠다는 의지가 강조됐다.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무역투자진흥회의는 현장을 회의장으로 옮겨놓은 회의체”라며 “정해진 각본보다 생생하게 진행됐다”고 묘사했다. 회의에는 정부 고위 당국자, 유관기관 및 경제단체 관계자, 기업 실무자, 여야 국회의원까지 186명이 참석했다. 새 정부 들어 지금까지 열린 청와대 회의 중 최대 규모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장관 11명이 나왔고 신제윤 금융위원장,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도 참석했다. 청와대에선 허태열 비서실장을 비롯해 40명의 참모가 배석했다.

자리 배치도 파격적이었다. 박 대통령 양 옆자리는 현장에서 직접 뛰는 기업인들로 채워졌다. 왼쪽에는 문화콘텐츠 수출업체 이사가 앉았고, 오른쪽에는 바이오 벤처기업 대표가 자리했다. 대통령 맞은편에는 프레스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나온 34세 대리가 앉았다.

사회자가 따로 있었지만 정해진 시간에 쫓겨 기업인들의 발언시간을 줄이려 하자 박 대통령은 “장관들의 답변시간을 줄이더라도 기업인들의 말씀을 한 분도 빠짐없이 들어보자”며 사회를 자청해 회의를 진행했다. 덤프트럭과 소방차 등 특장차량을 제작하는 업체 대표가 “수출 초보 기업으로서 시장 개척을 할 때 제품을 알리는 게 힘들다”며 해외 전시행사 개최에 예산 지원을 요청하자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난색을 표했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특장차 실물을 전시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며 “3D 기술을 활용해 해외 바이어들에게 소개하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110분 동안 진행된 회의에서는 250건의 투자촉진 건의 중 50건이 해결됐고 117건은 제도 개선을 통해 처리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정책이 진정한 의미를 가지려면 현장 기업인들의 애로사항이 풀리고 그것이 투자로 이어져야 한다. 반드시 성과가 나야 한다”며 주기적인 피드백을 지시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경제 부흥으로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이루기 위해선 투자와 수출이 다시 한번 활발하게 살아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함께 투자하고 선진국 시장과 신흥시장을 함께 개척하면서 동반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