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추대론은 반민주적… 朴心, 있지도 않고 있어서도 안돼”
입력 2013-04-30 18:39 수정 2013-04-30 22:24
與 원내대표 경선 출마 ‘新朴’ 이주영 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이주영 의원은 30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당 일각에서 제기된 ‘최경환 추대론’과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 의중)’ 논란에 대해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이 의원은 당내에서 신박(新朴·신박근혜계)으로 통한다.
이 의원은 “상대 주자가 있는데 무시하고 추대하자는 것은 반민주적 발상으로 말이 안 된다”며 “그렇게 하면 당이 병든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을 동원해서 마치 박심이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가 버려야 할 구태”라며 “내가 알아본 바로는 박심은 있지도 않고, 있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그런 설(說)을 유포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불쾌한 감정도 드러냈다.
차기 원내대표의 역할은 ‘필요충분조건’으로 설명했다.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실현하고 원만한 여야 협상을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조건이고, ‘할 말은 하는’ 건강한 당·청 관계를 만드는 것은 충분조건이라는 것이다.
4선인 이 의원은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로 3선의 장윤석 의원을 선택했다. 반면 3선의 최경환 의원은 같은 3선인 김기현 의원과 한 팀을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노련한 4선의 원내대표와 3선의 정책위의장이 안정적으로 원내지도부를 구축하는 것이 순리”라고 했다. 또 “너무 대통령의 최측근이 원내대표를 맡으면 의도와 관계없이 당·청 관계가 수직적인 구조로 비칠 수 있고 국민의 시선도 썩 곱지만은 않을 수 있다”며 “이런 차원에서도 순리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정책위 운영과 관련해 “상임위 간사와 전문성 있는 초선의원이 팀을 이뤄 직접 정책위의장과 조율하면서 당정협의를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이 의원의 성품이 ‘합리적이지만 너무 부드럽다’고 말한다. 청와대나 야당을 향해 ‘할 말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맞닿아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은 “한마디로 마타도어(흑색선전)”라고 정색했다. 그러면서 초선의원 시절 야당이던 한나라당에서 활약하면서 ‘이용호 게이트’를 터뜨려 검찰총장까지 물러나게 해 ‘저격수’로 불리던 일화를 자세히 소개했다. 정책위의장 때는 감세정책 중단, 경제민주화 및 복지 확대에 앞장서는 추진력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정책위의장과 대선기획단장을 맡았을 때 ‘(내가) 할 말 못한 사례’를 들어보라고 하면 없을 것”이라고 기염을 토했다.
경제민주화 속도조절론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시했다. 이 의원은 “대기업들이 제기하는 속도조절론에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근로자들까지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속도조절론을 받아들이겠다”며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일방적 목소리일 뿐이다. 총·대선을 거치며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경제민주화에 대한 일방적 후퇴는 안 된다”고 단언했다.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철수 조치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개성공단 단전·단수 조치는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섣불리 할 일은 아니다”라며 “단전·단수에 따른 피해, 개성공단의 미래에 끼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추경 논의 과정에서 불거진 지역구 쪽지예산 논란과 관련해 “쪽지 예산은 어떤 면에서는 정부의 일방적 예산편성권을 견제하는 반박자료로 볼 수 있다”며 “하지만 빚을 내는 추경에서 쪽지예산은 자제하는 게 옳다”고 밝혔다.
엄기영 유동근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