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강 폐철교' 철거 싸고 논란

입력 2013-04-29 16:39


일제강점기 때 전북 완주군 삼례읍에 세워진 ‘만경강 폐철교’ 철거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올해 안에 철거키로 하자, 완주군과 주민들이 보존을 주장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등록을 추진해 보존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29일 완주군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오는 11월말까지 만경강을 가로지르는 폐철도 교량을 해체할 계획이다. 이 철교는 전라선 복선화 사업으로 지난해 11월 철도 기능을 상실했다. 철도공단은 복선화 사업 승인 때 ‘준공일로부터 1년 이내에 폐철도 교량을 철거한다’는 조건이 있었다고 밝혔다. 철거 비용만 10억원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완주군과 주민들은 근대문화유산 보존을 주장하며 철거에 반대하고 있다. 만경강 철교는 1914년 전라선 개통과 함께 세워졌다. 처음 길이 262m의 나무 교량으로 만들어졌으나 1927년 476m(폭 2m)의 철교로 바뀌었다. 일제는 이 철교를 이용해 호남평야에서 수확한 쌀을 수탈해 갔다.

완주군과 지역민들은 이 철교가 100년 가까이 쌀 수탈 등 근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해 문화유산 가치가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군은 지난달 철도공단에 공문을 보내 철교의 무상 양여를 요청한 상태다. 군은 철교를 보존하면 수억원의 철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관광자원화로 지역 관광수익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다음달 준공 예정인 삼례문화예술촌에 이 일대를 연계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주민들도 ‘폐철교는 국가 차원의 자원’이라며 보존·개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원형을 지키는 선에서 자전거도로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재청이 이 철교를 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가 주목된다. 문화재청은 최근 전북도와 완주군에 ‘문화재 등록 신청서’ 제출 등 행정절차 협조를 요청했다. 문화재청은 현지조사 결과, 이 철도가 지역 역사는 물론 철도 발전의 자취로서 보존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문화재청 움직임으로 철도공단의 변화를 기대한다”며 “잘 관리해 역사 유물도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