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철수 권고… 정치권 “공단 폐쇄 안된다” 한목소리

입력 2013-04-26 22:07

여야 정치권은 26일 폐쇄 위기에 놓인 개성공단 사태와 관련해 남북이 즉각 대화에 나서 공단 폐쇄를 막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개최된 ‘북한인권사랑방 모임’에 참석해 “(개성공단은) 남북한은 물론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곳”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개성공단을 국제경제특구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다. 황 대표는 “개성공단을 무너지는 취약한 시스템으로 남겨놓을 것이 아니라 이번에는 더 강화되고 확실한 보장이 이행되는 국제경제지구로 격상시키는 것이 좋다”며 “비군사적·비정치적 접근과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북측이 우리 측 실무회담 제안을 끝내 거부하자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고립만 심화시키는 자충수”라며 “개성공단이 사실상 폐쇄되는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당국에 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또 “오늘 통일부가 내린 결정은 공단에 남아 있는 우리 근로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며 “남북 합의를 위반하고 신뢰를 깬 북한 당국은 국제사회의 지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북한 당국이 우리 정부의 회담 제안에 응답해야 개성공단이 살고 한반도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상대하려면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하면서 유연한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며 “정부도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올 때까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대화 제의를 거부하고 개성공단 문제를 돌이키기 어려운 길로 몰아가고 있음을 강력 규탄한다”며 “닫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점에서 우리 정부가 실효적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점도 매우 아쉽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개성공단이 폐쇄되고 남북 경제협력의 소중한 성과가 무위로 된다면 남북한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라며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마음을 열고 대화의 손을 내밀 때만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무현 정부 때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동영 민주당 상임고문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남북이 관리돼야 한다”며 “개성공단 문제를 통 크게 남북 간 소통의 출발점으로 삼으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엄기영 임성수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