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공단 폐쇄 안된다” 한목소리
입력 2013-04-26 18:46
여야 정치권은 남북이 서로 ‘중대 조치’를 선언하며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개성공단 사태와 관련해 26일 남북이 즉각 대화에 착수해 개성공단 폐쇄를 막아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개최된 ‘북한인권사랑방 모임’에 참석해 “(개성공단은) 남북한은 물론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곳”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개성공단을 국제경제특구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다. 황 대표는 “개성공단을 무너지는 취약한 시스템으로 남겨놓을 것이 아니라 이번에는 더 강화되고 확실한 보장이 이행되는 국제경제지구로 격상시키는 것이 좋다”며 “비군사적·비정치적 접근과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일 대변인은 북측이 오후에 국방위원회 담화 형태로 우리 측 실무회담 제안을 끝내 거부하자 논평을 통해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북한 당국은 지금이라도 이성을 되찾아야 한다”며 “정경분리 원칙에 따라 개성공단을 정상 가동해야 국제사회가 북한을 조금이라도 신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북한 당국이 우리 정부의 회담 제안에 응답해야 개성공단이 살고 한반도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상대하려면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하면서 유연한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며 “정부도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올 때까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북한은 체류 중인 우리 공단 근로자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정상화해야 한다”며 “개성공단은 정치적·군사적 상황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노무현 정부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동영 상임고문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남북이 관리돼야 한다”며 “개성공단 문제를 통 크게 남북 간 소통의 출발점으로 삼으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