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유치원비, 소비자단체·정부 공동 관리키로

입력 2013-04-26 18:23 수정 2013-04-26 22:29

소비자단체들이 올해 휴대전화 단말기와 유치원비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물가를 특별조사해 정부와 공동 관리한다. 교복 가격 인상률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넘지 않도록 유도한다.

정부는 26일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물가안정방안을 논의했다.

10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날 회의에 참석해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을 국가별로 비교하고 단말기 유통과정을 조사하겠다고 보고했다. 알뜰폰 업계와 이동통신사가 지급하는 보조금도 집중 감시 대상이다. 협의회는 가계 부담을 늘리고 있는 유치원비와 어린이집 비용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협의회 원가분석팀은 6개 개인서비스 요금(외식비, 목욕비, 세탁비, 이·미용료, 숙박료)과 7개 공공서비스 요금(시내버스, 전철, 택시, 도시가스, 상하수도, 쓰레기봉투) 원가도 분석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비자단체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6월 안에 공공요금 원가절감 방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한편 교육부는 여름용 교복(하복) 가격 인상률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2.2% 이하로 형성되도록 시·도교육청에 권고할 계획이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