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이번엔 ‘금융 도발’… 韓·中 배제하고 ASEAN과 새 협력체제 추진
입력 2013-04-26 18:19
일본이 과거사 도발에 이어 이번에는 금융과 무역 분야에서 ‘도발적’ 행보를 이어갈 태세다.
일본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ASEAN) 10개 회원국은 다음달 3일 최초로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를 열기로 했다. 일본과 아세안 간 정상·외교장관급 회의가 있고 재무장관들도 1999년 회동을 가진 적이 있지만 중앙은행장들까지 함께 만나기는 처음이다. 일본이 한국과 중국을 ‘배제’한 채 역내 경제질서를 재편하려 한다는 비판이 거세질 전망이다.
2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한국과 중국의 재무장관이 참석하는 ‘아세안+3(한·중·일)’ 협의체제와는 별도로 열린다. 회의 시기와 장소도 다음달 2∼5일 인도 뉴델리 교외에서 열리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연례총회 기간에 맞춰졌다.
일본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과 개별 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필리핀과는 기존 협정을 강화할 전망이다. 아세안+3의 통화교환협정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를 일본 주도로 보완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중앙은행과는 일본 국채를 담보로 일본 민간 은행에 현지 통화를 공급하기 위한 협정도 체결한다. 이와 함께 일본 재무성이 정부 보유 외환을 바탕으로 아시아 신흥국 채권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방안도 합의될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아세안과의 별도 회의를 통해 역내 경제 발전을 전면적으로 지원하고 아시아 채권시장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정기적인 회의 개최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 일본 언론들은 아세안 지역 경제성장의 수혜를 일본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 기간 예정됐던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취소됐다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의장국인 중국이 “한·중·일 3국이 조정해야 할 의제가 없다”고 회의 취소를 일본 측에 통보한 데 따른 것이다.
일본의 독자 행보는 영유권과 역사인식 문제 등으로 한국 및 중국과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된 상황과 무관치 않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