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공격받을 경우’ 질문에… 中, 군사 원조 대답 회피

입력 2013-04-26 18:16

중국은 25일 북한이 공격받을 경우 군사적인 원조를 할 것인지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나타냈다.

중국 국방부 양위쥔(楊宇軍)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조선(북한)이 공격을 받으면 1961년 체결된 ‘중·조 우호협력 상호원조조약’에 따라 중국이 군사 원조를 할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러한 가상적인 질문에 답변을 하면 ‘대변인의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인터넷에서 비판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라고 답했다.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양국 간 관계가 불편해진 상황에서 나온 이러한 답변은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왔다. 이 조약 2조에는 ‘어느 일방이 무장침략을 받아 전쟁상태에 빠지면 상대방은 즉각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규정돼 있다. 양위관(楊宇冠) 중국 정법대학 교수는 최근 이 조약 폐기론을 제기해 주목받았다. 미국 국무부의 조지프 윤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대행은 25일(현지시간)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이 없어지면 괌 미군기지에 배치된 미사일 방어(MD)망을 재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윤 차관보대행은 이날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 청문회에 참석해 지난 13일 중국을 방문한 존 케리 국무장관이 한 발언에 대한 설명을 요청받고 이같이 말했다.

당시 케리 장관은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회담한 뒤 한 회견에서 “만약 위협이 사라진 것이 확실하면, 즉 북한의 비핵화가 이뤄지면 우리가 강화하고 있고 전진 배치된 방어망 같은 것을 가져야 할 당위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태평양과 동북아 지역으로의 미사일 방어체제 전진 배치가 실은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중국 내부 반발을 잠재우려는 발언이었다는 해석이 나왔다.베이징 정원교 특파원,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