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업재개 기대했는데… 안타깝고 참담” 개성공단 입주업체들 반응
입력 2013-04-26 18:17 수정 2013-04-26 22:06
정부가 26일 오후 개성공단 잔류인원 철수를 권고함에 따라 입주업체들의 위기감이 극대화되고 있다. 당장 철수하지 않더라도 당분간 개성공단을 정상화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 기정사실화되면서 개성공단 폐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003년 6월 착공된 개성공단에서는 2004년 12월 첫 제품이 생산됐다. 당시 255명 수준이던 북측 근로자 수는 2006년 11월 1만명을 돌파했다.
개성공단에는 그동안 기반시설과 생산시설 등에 9000억원대의 남측 자본이 투자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입주 기업은 123곳이며 근로자 175명이 잔류하고 있다.
첫 생산품 출하 이래 지난 1월까지 누적 생산량은 20억1703만 달러 규모다. 지난해 개성공단의 연간 생산액이 4억7000만 달러에 달했다.
개성공단에는 북측 근로자 5만3000여명이 근무해 왔다. 지난해 기준으로 근로자 1명당 월평균 134달러의 임금을 받았다.
북측 근로자 규모와 임금을 토대로 북한은 개성공단을 통해 연간 9000만 달러 이상의 달러를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개성공단이 본격 가동된 2004년부터 지난해 7월까지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에게 지급된 임금 누적 총액(임금 및 사회보험료 포함)은 2억4570만 달러다.
입주 업체들은 정부의 철수 권고에 망연자실한 표정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한재권 회장은 “지난 10년간 피땀 흘려 오늘의 개성공단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중단돼 참담하고 안타깝다”며 “보상 문제는 차후 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정부가 개성공단 정상화 의지를 갖고 있는지 알아보겠다”고 말했다. 또 “정부가 ‘기업활동을 영위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특별법 없이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은행 개성공단 지점은 빠른 시일 내에 철수할 계획을 밝혔다.
협회는 업체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 정부에 보상을 요청할 계획이다.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피해액은 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대에서 개성공단 정상화와 조업 중단에 따른 지원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개성공단 포럼’에서는 “개성공단 운영 중단으로 발생한 입주기업 피해의 보상체계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업체들은 조업 재개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입주업체 관계자는 “지금 조업은 중단됐지만 재개될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피해액 계산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