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법인·로펌, 경제민주화 ‘특수’
입력 2013-04-25 18:47
박근혜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의지로 기업은 ‘죽을 맛’인 반면 ‘특수’를 노리는 곳이 있다. 바로 기업의 세무·법률 컨설팅을 전담하는 회계법인과 로펌이다. 이들은 일찌감치 특별대응팀을 꾸리고 ‘손님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대형 회계법인들은 원래 올해 ‘장사’를 기대하지 않았다. 경기침체가 길어져 일감이 줄어들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뜻하지 않은 호재를 만났다. 새 정부 들어 국세청이 과세를 강화하면서 기업의 세무자문이 크게 늘었다.
회계법인의 업무 가운데 세무자문은 회계감사·재무자문과 달리 기업이 감세 효과를 직접 체감하기 때문에 자문료 등이 후한 편이다. 또 국세청의 세무조사에 앞서 세무진단을 받으려는 기업도 증가 추세다. 한 대형 회계법인 관계자는 25일 “세무진단과 세무조사 대응 등 세무자문에 대한 모든 분야의 일감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법원의 대기업 회장 엄벌로 체면을 구겼던 대형 로펌도 희색이다. 재계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 감시를 강화한 데다 국세청도 ‘일감 몰아주기’ 등 사주의 편법 증여·상속 추적 조사에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오는 7월부터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과세가 시작되면 대대적인 소송 특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최대 법률사무소 김앤장은 올 들어 국세청 납세자 보호관, 조세심판원 조사관 등을 줄줄이 영입했다. 공정거래팀 100여명, 조세팀 140여명으로 구성된 업계 최대 규모의 대응팀을 꾸렸다. 법무법인 태평양도 공정거래팀, 조세팀, 금융팀 등의 핵심 인력으로 ‘경제민주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법무법인 화우는 지난달부터 대기업 법무담당자를 대상으로 경제민주화와 일감 몰아주기에 관련된 세미나를 잇달아 열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일감 몰아주기 제재 등은 ‘오너(사장)’와 직결된 문제라서 전방위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며 “평소 거래하던 회계법인, 로펌 등과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