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재형저축 인기 되살리기 고정금리 7년 보장 상품 개발

입력 2013-04-24 18:48

18년 만에 부활한 재형저축의 인기가 차갑게 식고 있다. 높은 금리를 고정으로 적용하는 기간이 짧은 등 이득이 별로 없어서다. 재형저축이 주춤하자 금융당국은 고정금리를 최대 7년까지 보장하는 상품을 출시하도록 보완책 마련에 나섰다. 재형저축 가입이 어려운 취약계층이 가입할 수 있는 적금상품 확대도 금융권에 주문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6일부터 지난 19일(저축은행·상호금융·자산운용사는 3월 말)까지 재형저축 신규가입 수가 165만6000계좌라고 24일 밝혔다. 이 중 재형적금이 157만2000계좌(2549억원)로 전체의 96.5%를 차지했다. 재형펀드는 8만4000계좌(92억원)로 5%에 불과했다.

현재 재형저축은 은행 17곳, 저축은행 15곳, 상호금융 1769곳, 자산운용사 24곳 등 총 1815곳에서 팔고 있다.

재형저축 열풍은 초기에 반짝하다 순식간에 사그라졌다. 재형저축을 가장 많이 판 은행의 경우 일별 판매액이 40일 동안 6배 가까이 줄었다. 출시 첫날인 지난달 6일 198억원이 팔렸지만 지난 19일 33억7000만원으로 급감했다. 다만 계좌당 평균 납입액은 같은 기간 7만1000원에서 15만9000원으로 증가했다.

금감원은 금융권에 고객 상품선택권을 위해 현재 3∼4년인 고정금리 적용기간을 최대 7년까지 확대한 상품을 개발하도록 지도했다. 일부 은행은 7년 동안 고정금리를 주는 재형저축 상품을 개발 중이다. 최소 의무가입기간인 7년 동안 동일금리를 보장해 줘 시중금리 하락에 따른 손해를 피할 수 있다.

또 금감원은 재형저축 가입이 어려운 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 소년소녀가장 등)에 대한 고금리 적금상품을 더욱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이 상품은 재형저축과 같은 비과세 혜택이 없지만 금리가 더 높다. 2011년 이후 8개 은행이 관련 상품을 출시해 2만9000계좌(301억5000만원)를 판매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재형저축 가입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해 고금리 적금상품 확대도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