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올바른 역사인식 필요… 향후 한·일외교 더 지켜봐야”

입력 2013-04-24 18:20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일제의 침략 사실을 부정한 데 대해 “책임 있는 지도자라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지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항상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윤 장관은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중국으로 출국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아소 다로 부총리가 ‘이번 문제가 외교적인 문제가 안 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선 “그것은 아마도 그분 생각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향후 한·일 외교일정에 대해선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여야 정치권은 전날 일본 국회의원 168명이 야스쿠니 신사를 집단 참배한 것에 대해 “군국주의 망령의 부활”이라며 일제히 규탄했다. 새누리당 최고위원·중진의원연석회의는 일본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황우여 대표는 “제국 침략적 행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이 드러나는 행태”라며 “심각한 유감”이라고 밝혔다. 정몽준 의원은 “북한 핵무장으로 동아시아 평화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일본 군국주의 부활이 느껴지는 증세를 보이는 것 같아 심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정의화 의원은 “국회 한·일 의원연맹은 다른 모습을 보일 때까지 일체의 교류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해 “동북아 평화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노골적인 군국주의 회귀와 제국주의 야욕을 드러내는 용납할 수 없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침략전쟁 역사를 미화해 피해국 국민을 두 번 죽이는 몰염치한 짓을 반복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도 전체회의를 열고 우려와 비판을 쏟아냈다. 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신사를 참배한 아소 부총리, 신도 요시타카 총무상, 후루야 게이지 국가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 담당상 등 3명을 입국 금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부 의원들은 주일 대사 소환, 유엔 결의안 유도, 피해국들과 공동 대응 등을 주문했다. 윤 장관을 대신해 전체회의에 출석한 김규현 외교부 1차관은 “외교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는 언급된 내용을 포함해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