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밀려… 광양항 홀대 해도 너무해!
입력 2013-04-23 18:59
정부의 부산항 원포트(One-Port) 정책에 전남 광양항 활성화 기대가 요원해지고 있다.
4년 만에 부활된 해양수산부의 항만개발정책에 부산항에 대한 방대한 개발계획이 있는 반면 광양항 개발전략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해양수산부의 ‘2013 업무추진계획’에 따르면 부산항에는 ‘컨테이너 환적화물 허브항만’으로 구축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된다. 먼저 컨부두와 항만 배후단지, 배후수송망(제2 배후도로)이 지속적으로 확충된다. 연간 10만TEU 이상 물량을 유치할 수 있는 선사에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시민친화적 해양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반면 광양항은 항만 활성화 및 역무서비스 강화를 위해 여수 신북항 개발과 배후단지를 확충한다는 계획에 그치고 있다.
당초 정부는 1988년 기존 부산항과 함께 동북아 물류기지 확보를 목적으로 광양항을 개항했다. 광양항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아시아에 근접해 환적화물 거점항구로는 최적의 위치에 있다. 광양제철소,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산업벨트가 형성돼 수출입 전초기지로도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는다. 총 길이 11㎞, 너비 0.64㎞의 컨테이너 하적장도 갖추고 있다.
특히 광양항은 최대 수심 22m로 국내에선 대형선박들의 접안이 가장 쉽다. 현재 16개 선석으로 연간 540만TEU 화물을 처리 가능하다.
정부가 부산항 개발에 속도를 내며 광양항 개발에 소홀할 경우 광양항은 결국 항만의 잠재력을 상실할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민주통합당 우윤근(광양·구례) 의원은 “부산항에 컨테이너 환적화물 허브항만으로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는 반면 광양항 개발정책은 딱히 제시된 게 없다”면서 “박근혜정부가 사실상 전 정부에서 추진돼 온 부산항 중심의 원포트 시스템 정책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는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광양항 활성화정책을 빠른 시일 안에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양=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