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고민” “문제없다” 팽팽… 대체휴일 입법 불투명

입력 2013-04-23 18:24 수정 2013-04-23 13:47

일요일과 다른 공휴일이 겹칠 경우 평일에 쉬도록 하는 대체휴일제(공휴일에 관한 법률안) 시행에 대한 찬반 양론이 팽팽해 법안 통과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여당 내에서조차 의견이 제각각인데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는 23일 민주통합당 의원들이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 사건과 관련한 현안질의를 요구하며 대치해 파행을 겪었다.

국토교통위 소속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체휴일제를 도입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좀더 경제를 살리고 나라를 살리는 데 집중해야 하는 분위기를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같은 당 나성린 정책위의장대행도 SBS 라디오에 나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제출한 것이기 때문에 추진한다”면서도 “기업의 부담도 무시할 수 없어 그런 점을 감안해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신중론을 폈다.

반면 법안을 발의한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은 재계 반발 등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윤 의원은 교통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재계에서는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들의 수익 감소를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대체휴일제와 상관없는 문제”라며 “재계에서 임시직, 일용직으로 두겠다고 하면서 그들의 수익 감소를 걱정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말했다. 안행위 새누리당 간사인 황영철 의원도 KBS 라디오에 나와 “제도 도입으로 1년에 고작 2∼3일 늘어나는 걸로 파악되는데 재계의 반응이 너무 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안행위는 전체회의를 열어 대체휴일제 법안 등을 심의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현안질의를 놓고 여야가 대치하면서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성한 경찰청장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에 대한 현안질의를 요구했지만 새누리당 의원들이 거부했다. 황 의원이 개의가 늦어진 것과 관련해 야당 책임을 물으며 브리핑을 하자 민주당 의원들은 새누리당 의원들을 배제한 채 ‘반쪽 회의’를 열었다. 안행위는 25일 전체회의를 열어 법안 심사를 재개키로 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