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대선자금… 연일 치고받는 민주
입력 2013-04-23 18:13
5·4 전당대회를 앞둔 민주통합당에서 친노(親盧·친노무현) 주류와 비주류 간 집안싸움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대선 패배 책임론과 당 강령 수정 논란에 이어 이번엔 대선 자금이 방만하게 집행됐다는 보고서까지 나오면서 양측 다툼이 전방위로 옮겨 붙는 모양새다.
대선선거비용검증단장을 맡은 비주류 측 문병호 의원은 2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선거비용을 심층 분석한 결과 선거 비용이 방만하게 집행됐다”며 “비용을 선거관리위원회가 보전해주기 때문에 금액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선거대행업체 선정 과정에 객관성·전문성 강화 등의 권고 사항도 발표했다.
특히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에는 업체 선정 과정에 문재인 전 대선후보의 고교 선배 등 친노 인사가 개입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의원은 “검증 과정에서 계파적 시각은 들어가 있지 않으며 특정인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고 했다.
주류 측은 곧바로 반발했다. 내용 자체가 편향적일 뿐더러 비공개키로 했던 조사 내용을 전당대회를 앞둔 미묘한 시점에 공개한 것도 ‘다른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선관위 조사에서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대선자금을 다시 조사한 것은 물론 비공개키로 한 합의까지 깼다”고 비판했다. 대선 당시 총무본부장을 맡았던 우원식 의원도 “검증단에서 한번도 선거자금 집행 과정에 대해 물어보지 않았다”며 “특정인을 공격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 의원과 대선 캠프에서 유세·홍보를 맡았던 조정식, 유은혜 의원은 24일 당 비대위에 참석해 해당 내용을 반박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당 대표 후보 자리를 놓고 주류 측 강기정·이용섭 의원과 비주류 김한길 의원의 신경전도 거세지고 있다. 강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김 의원이야말로 계파색이 강하다. 얼마 전까지 (친노·주류) 책임론을 펼치다 이제 와서 책임론을 거론하지 말자고 하는데 이에 대해 분명히 해명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3∼4일 안에 (이 의원과) 단일화를 마무리 짓겠다”고 했다. 반면 김 의원은 두 의원의 단일화 논의를 사실상 ‘담합’으로 규정하고 나선 상황이다.
민주당은 권리당원의 우편투표를 시작으로 당 대표 및 최고위원 경선 투표에 들어갔다. 우편투표는 당에서 연락처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가 어려운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다음달 2일까지 실시된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