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사 “오송역세권 공공·민간 공동개발”… 자금 3100억 확보 여전히 불투명
입력 2013-04-22 19:03
충북도와 청주시, 청원군이 두 차례 민간투자자 유치에 실패한 KTX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을 공공과 민간 부문을 혼합해 추진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하지만 3100억 원대의 사업자금 확보가 여전히 불투명해 일부에선 ‘땜질식 처방’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은 공공과 민간개발 사업비용 분담률을 51대 49로 하기로 했다”며 “공공부문 51%는 청주시와 청원군이 책임지고 민간부문 49%는 도가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500억원의 현금·현물을 출자하고 충북개발공사가 금융대출 등을 통해 1500억 원대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사업비 부담을 덜기 위해 1800억 원대로 추정되는 토지보상비를 채권으로 지급하거나 개발된 토지로 보상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청주시와 청원군이 현물출자를 해도 의회가 승인한다고 장담할 수 없고 민간부문 투자 역시 가능성이 희박하다.
도가 사업추진 의지를 밝힌 것은 이 개발사업이 무산될 경우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지사가 책임론에 시달릴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