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경차·하이브리드 관용차 사용 외면
입력 2013-04-22 19:03 수정 2013-04-22 09:55
지자체들이 저비용 고효율의 관용차 사용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2012년까지 광역·기초단체의 관용차 중 경차·하이브리드 자동차 비율을 50% 이상으로 높이도록 했으나 지켜지지 않고 있다.
22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07년 국무총리 지시에 이어 2008년 ‘관용차 관리·운영 개선방안’ 권고를 통해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경차·하이브리드를 절반 이상 사용하도록 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연료 소모가 적은 관용차 비율을 끌어올리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고유가 시대에도 서울시를 제외한 대부분 지자체들은 이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광역·기초단체 가릴 것 없이 전국 지자체의 경차·하이브리드 비율이 10∼3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관용 승용차 33대 중 경차는 전기차 4대를 포함해 모두 12대로 36.3%로 파악됐다. 산하 16개 구·군의 관용 승용차 239대 중 경차는 85대로 37.2%였다.
대구와 울산, 경·남북, 충·남북, 전남·북, 강원도 등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대구시의 전체 관용차 43대 중 경차는 4대뿐이고 산하 8개 구·군에서도 전체 164대 중 경차는 18대로 파악됐다.
충북도 역시 의전·업무용 관용차 26대 중 경차는 2대, 하이브리드는 1대에 그쳤다. 특히 청주시에는 관용차 30대 중에서 경차가 1대뿐이고, 하이브리드 차량은 한 대도 없었다.
강원도는 지난해 말 현재 도 본청과 18개 시·군의 전체 관용차 405대 중 하이브리드는 33대, 경차는 112대였다. 전북도의 경우 78대 중 경차는 7대뿐이었다. 나머지 경·남북 등도 해당 차량은 고작 20∼30% 수준에 머물렀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경차 등의 비율이 그동안 더 낮아졌다. 인천 계양구는 2009년 관용차 23대 중 22대가 경차였으나, 2011년에는 32대 중 13대로 비율이 더 떨어졌다. 이 밖에 서울 송파구와 경남 통영시 등은 경차가 한 대도 없다. 이로 인해 전국 240여개 지자체의 경차 보유 비율은 2009년 28.2%에서 2011년 25.9%로 낮아졌다.
반면 서울시는 3월 말 현재 관용차 375대 가운데 친환경 에너지절약형 차량이 219대(58.4%)로 10대 중 6대에 가까워 대조를 보였다.
전남도 재산관리계 관계자는 “7년 이상 사용했거나 주행거리가 12만㎞가 넘은 관용차를 순차적으로 경차 등으로 바꾸고 있다”며 “관용차 교체 때는 에너지 효율을 최우선으로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무안=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