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尹외교 방일 전격 취소, 당분간 정상회담도 난망

입력 2013-04-22 18:16 수정 2013-04-23 00:33

야스쿠니 참배 강행에 배신감…23일 의원 100명도 참배 예정

한·일 관계가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냉각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악화된 상황에서 일본 고위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 문제가 다시 불거지면서 양국 관계는 당분간 정상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6~27일로 예정된 방일 일정을 22일 전격 취소했다. 정부 고위인사의 일방적인 상대국 방문 취소는 외교적 결례다. 그럼에도 정부가 장관 방문을 취소한 것은 일본에 시대착오적 행위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다.

우리 정부는 일본 측과 방일 일정을 협의하면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자제해 줄 것을 수차례 전달했다. 그럼에도 일본 각료가 이를 강행한 데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 앞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등 각료 3명은 20∼21일 잇달아 참배했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화분 형태의 공물을 보냈다. 아소 부총리는 아베 내각의 2인자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 특사로 2월 방한했던 인물이다. 외교부는 아소 부총리의 참배가 확인된 직후 장관 방일 계획을 취소키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일본과) 협의를 통해 회담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신사 참배를 강행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런 상황에선 성과를 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공식 논평을 통해 일본을 강력 비난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전쟁범죄자를 합사한 야스쿠니 신사에 일본 총리가 공물을 보내고 현직 각료들이 참배한 데 대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며 “역사를 망각한 시대착오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양국이 냉각기를 이어가면서 한·일 정상회담도 당분간 이뤄지기 어렵게 됐다.

한편 일본 국회의원 100여명이 야스쿠니 신사에 23일 집단 참배할 예정이라고 교도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초당파 의원 연맹인 ‘다함께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들로 이 모임은 매년 봄, 가을 정기 제사와 8월 15일에 맞춰 야스쿠니 집단 참배를 되풀이하고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