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가동중단 15일째 朴 “우리 기업 피해 커 정부가 해결해줘야”

입력 2013-04-22 17:53 수정 2013-04-22 19:02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개성공단 사태와 관련해 “기획재정부, 통일부, 국세청 등 관계부처들이 잘 검토해 피해 기업의 어려움을 적극 해결해줘야 한다”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북한이 하루빨리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것이 해법이겠지만 우선 피해를 입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어려움을 정부가 적극 나서서 해결해 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개성공단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남북 간 합의를 지키는 것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약속을 지켜야 신뢰가 쌓이고 그래야 새로운 약속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개성공단 문제를 언급한 것은 이날로 개성공단 가동 중단 보름째, 통행차단 20일째를 맞았지만 여전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지난 17일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을 거부한 데 이어 범중소기업계 대표단의 방북마저 거부했다. 또 “개성공단 폐쇄 위기는 남측 책임”이라는 주장을 거듭하고 있다. 노동신문은 ‘절대로 통할 수 없는 책임회피 놀음’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괴뢰들은 고의적인 긴장격화 책동으로 개성공업지구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평화적 분위기를 여지없이 파괴했다”고 비난했다.

개성공단 123개 입주기업들의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남북 어느 곳에서도 식료품을 받지 못해 북측 근로자가 야근 때 먹을 수 있도록 준비한 라면을 먹고 있다”며 “라면 등으로 버틸 수 있는 기간은 최대 한 달”이라고 말했다. 해외 바이어로부터 계약파기를 요구받은 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입주 업체인 대화연료펌프 측은 “최근 인도의 한 자동차 부품회사가 납품계약을 파기하고 공단에 투자한 금형시설의 자산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상하라는 공문을 보내왔다”고 말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개성공단은 우리 회사의 모든 돈을 투자한 삶의 터전”이라며 “절대로 나갈 수 없다. 빨리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남측 인원 2명이 추가로 귀환해 현재 개성공단에는 우리 국민 188명이 남아 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