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댓글 수사 윗선 개입의혹 관련 경찰청-당시 수사과장 공방

입력 2013-04-22 18:24 수정 2013-04-22 22:32

이성한 경찰청장이 22일 국가정보원 여직원 댓글 사건 수사에 경찰 윗선이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권은희 당시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서울지방경찰청이 개입 의혹을 반박하자 이해할 수 없다며 “(의혹을 공개한 건)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청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권은희 과장 발언의 배경에 상관없이 권 과장이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 진상조사를 할 방침”이라며 “이후 (권 과장 발언에) 잘못되거나 과장된 부분이 있다면 권 과장에 대한 감찰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과장은 최근 경찰 고위층이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그는 진상조사 방침이 권 과장 개인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는 질문에 “추정으로 대답하자면 저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배석한 경찰청 관계자는 권 과장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서울경찰청이 국정원 여직원 컴퓨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사팀이 의뢰한 키워드를 축소했다는 주장에 대해 “서울청과 수사팀 담당자 간 상의를 거친 것”이라고 해명했다.

권 과장은 이날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애초 건넨 78개 키워드 개수를 서울청이 줄이라고 했을 때 우리는 분명히 거절했다”며 “‘상의’라는 표현이 어떻게 나왔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여직원 재소환 당시에는 윗선에서 내게 전화를 걸어와 ‘(언론에) 한마디라도 더 하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도 전했다. 또 “감찰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걸 알지만 당시 수사팀을 이끌었던 입장에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은 사흘 전인 지난해 12월 16일 밤 11시 갑자기 기자회견을 열어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한 것과 관련해 민주당으로부터 형법상 직권남용과 경찰공무원법상 정치운동금지 위반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서울중앙지검은 형사3부에 배당했던 이 사건을 국정원 정치개입 특별수사팀에 넘겼다. 이에 따라 특별수사팀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 전 청장을 동시에 수사하게 됐다. 김정석 서울경찰청장은 “검찰이 당시 수사라인 소환 등을 요구할 경우 당연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