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후진국’ 한국… 담뱃갑 경고메시지로 흡연율 낮추기 노력 세계 97위

입력 2013-04-21 18:11

담뱃갑에 경고메시지를 새겨 흡연율을 낮추려는 노력에서 한국은 전 세계 198개국 중 97위에 불과해 금연 후진국으로 분류됐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4월호에 실린 ‘세계적 대세-담뱃값 경고이미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캐나다암협회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정책 분야 평가에서 한국은 캄보디아, 우간다, 중국 등과 함께 97위에 올랐다. 평가항목은 경고이미지 도입 여부와 면적, 법제화 등이다.

담뱃갑 경고메시지는 금연 캠페인 중 비용 대비 노출 빈도가 높은 방식으로 꼽힌다. 하루 한 갑을 피우는 흡연자라면 하루 20회, 연간 7300회 이상 경고메시지에 노출된다. 면적은 넓을수록, 문구보다 이미지를 사용할 때 효과는 커졌다.

한국은 경고문구가 법에 명문화돼 있긴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이 권고하는 이미지 도입은 미뤄진데다 면적도 권고안(50%)보다 작은 30%에 불과해 낮은 점수를 받았다.

경고이미지를 도입한 나라는 2001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2007년 12개국, 2011년 40개국을 거쳐 올해는 63개국까지 증가했다. 경고이미지 면적은 호주가 82.5%로 가장 넓었고, 우루과이·스리랑카(80%) 브루나이·캐나다(75%) 모리셔스·멕시코(65%)가 뒤를 이었다. 또 칠레의 경우 매년 경고이미지를 교체하고 있었으며, 뉴질랜드 호주 스위스 등도 2∼3개의 경고이미지를 1∼2년마다 번갈아가며 썼다. 같은 이미지에 노출될 경우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대학 담배규제연구소 이성규 박사는 “나라마다 사회경제적 환경 및 정서가 다른 만큼 흡연의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소재, 디자인, 색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