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성공 위해선 ‘경제정의’ 동반 절실”… 기독교윤리학회, 현 정부에 한국교회 윤리적 제언
입력 2013-04-21 17:49
“‘경제 정의’ 없는 경제민주화는 허상이 될 수 있음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김충환 목원대 교수)
“남북통일 과정에 있어서 남한이 북한보다 더 많은 수고가 뒤따라야 한다.”(이동춘 장신대 교수)
출범 2개월을 갓 넘긴 박근혜정부가 추진 중인 주요 정책에 대한 한국교회의 윤리적 제언이 쏟아졌다. 한국기독교윤리학회(회장 정종훈 연세대 교수)는 지난 20일 서울 신촌 연세대 루스 채플에서 2013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주제는 ‘박근혜정부의 주요 정책과 그에 대한 윤리적 비평.’
김충환 교수는 현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인 경제민주화가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선제조건으로 경제 정의를 강조했다. 그는 “빈곤과 양극화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21세기 한국사회에서 필요한 윤리는 타인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과 고통으로 받아들이는 공감과 연민, 연대의 윤리”라면서 동반되어야 할 가치로 ‘정의’를 꼽았다.
김 교수는 아울러 “경제민주화는 한국사회가 풀어야 할 경제 과제를 넘어서서 한국교회가 ‘사랑’과 ‘정의’를 어떻게 실천하는지 또한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일 정책에 있어서는 상호 이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남북한간 대화 시도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이동춘 장신대 교수는 “현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대화를 통해 양측의 신뢰 쌓아간다는 정책기조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전제하면서 “하지만 남한이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신뢰 이해가 아닌 남북한 쌍방이 합의된 신뢰 이해가 되어야 하며, 북한의 현실을 깊이 이해하는 긍휼의 자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 또는 다자간에 다양한 형식의 대화가 필요하다고 이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또 “기독교적으로 볼 때 섬김은 상대를 위해 기꺼이 자존심을 내려놓고 불편함을 감수하는 일”이라며 “통일을 향한 여정에 있어서 남한이 북한보다 좀 더 수고하고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안계정 백석대 교수는 복지 분야에 있어서 ‘국민행복연금’과 관련, “포퓰리즘식 공약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만큼 이행 가능성을 철저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행복연금제도는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20만원 이상의 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골자다. 정종훈 기독교윤리학회 회장은 “현 정부에 대한 일방적인 비판이 아니라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