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3부)] “직업교육은 독일 성장의 뿌리”

입력 2013-04-21 18:14 수정 2013-04-21 22:42

독일 경쟁력의 핵심은 사람이다. 자기 자리에서 제몫을 다하는 인재가 사회 곳곳에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실력과 성실함을 갖춘 일꾼들이 풍부하다. 이원화 직업교육이라는 독특한 인재 양성 시스템 덕분이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10년 의무교육을 마친 10대 후반의 청년들은 기업과 일종의 인턴 계약을 맺는다. 기간은 보통 3년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고등학교 2학년~대학교 1학년 시기다. 청년들은 1주일에 3~4일 회사로 출근한다. 나머지 1~2일 학교로 간다. 각 직업 분야의 이론을 가르치는 직업학교다. 회사에서는 실무를, 학교에선 이론을 익히는 시스템이다. 학교에서 배운 것을 회사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다. 아는 것 많고 일도 잘하는 전문 인력이 이원화 직업교육을 통해 양성된다.

이런 인턴 계약이 해마다 55만~60만개씩 체결된다. 독일 국책 연구기관인 연방직업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독일 청년 150만8328명이 이원화 직업교육을 받고 있다. 1인 기업을 포함한 독일 전체 기업이 약 210만개이고 그 가운데 47만개 업체가 1명 이상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직업교육 분야는 일반 산업뿐 아니라 수공업, 서비스업, 농업 등 다양하다. 세부적으로 독일 정부는 344개(2012년 기준) 이원화 직업교육 코스를 인정하고 있다.

청년들은 3년간 직업교육을 마치고 기업에 정식으로 입사할 기회를 얻는다. 회사는 교육기간 이들이 보여준 업무 태도와 성과, 직업학교 성적 등을 종합해 채용을 결정한다. 규모가 큰 기업은 평균적으로 직업훈련생 4명 가운데 3명을 채용한다. 독일의 청년실업률이 유독 낮은 이유는 이처럼 미리맞춤형 직업교육을 받은 일꾼을 키우기 때문이다.

직업교육은 중소기업으로 하여금 인력부족 걱정을 덜게 해준다. 회사 분위기와 업무에 익숙해진 훈련생들은 회사를 잘 떠나려 하지 않는다. 중소기업 입장에서 직업교육은 인력 확보의 기회다.

직업교육에는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들어간다. 직업훈련생 1명당 연간 1만5300유로(약 2200만원)가 든다. 기업이 이들에게 매달 지급하는 훈련지원금과 정부가 직업학교에 지원하는 수업료 등을 포함한 금액이다. 직업훈련생이 업무를 통해 회사 수익에 기여하는 부분을 빼도 지원 규모는 1명당 연간 3600유로(약 520만원) 정도다. 독일 정부는 2010년 직업교육 관련 비용으로 약 130억 유로(19조원)를 썼다.

그럼에도 독일이 직업교육을 지속하는 이유는 성장의 밑바탕이고 미래 투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프리드리히 에서 연방직업교육연구소장은 “직업교육을 빼놓고 독일 성장을 이야기할 수 없다”면서 “그 자체가 독일의 문화이자 역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6·7면



본·빌레펠트=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