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이 취임 이틀 만인 19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업무보고를 했다. 해수부를 끝으로 17개 부처 업무보고는 마무리됐다.
박 대통령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진행된 업무보고에서 5년 만에 부활하고도 논란 속에 장관 임명이 늦어졌던 해수부를 ‘슬로스타터’에 비유했다. 박 대통령은 “스포츠 선수 가운데 슬로스타터라고 불리는 선수들이 있다. 초반 출발은 늦지만 시간이 갈수록 잘하는 선수들인데 해수부도 스타트는 늦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훌륭히 역량을 발휘해서 해양강국을 선도하는 부처가 되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여야 공방으로 표류하면서 부처 출범 자체가 늦어진 데다 윤 장관이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자질시비’에 휩싸여 새 정부 출범 52일째인 지난 17일에야 지각 임명된 점을 감안해 업무로 ‘보답’하라는 주문인 셈이다. 윤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웃음으로 넘기려 해 논란이 있었지만 이날은 대체로 차분하게 업무보고를 마무리했다는 후문이다. 업무보고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윤 장관이 보고를 무난하게 잘했다”, “본인도 노력을 많이 한 흔적이 보였다”는 평가를 내놨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이 ‘오늘 해양수산부의 업무보고는 한마디로 참 흥미진진하다. 이렇게 업무보고가 흥미진진할 수 있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밝은 미래를 보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업무보고에서 해양수산 분야에서도 창조경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뱀장어 인공양식, 킹넙치 양식, 선박평형수(선박이 균형을 잡도록 배의 밑과 옆에 채우는 물) 처리 설비 등 모범적 기술개발 사례를 언급했다. 또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최근 빈발하는 선박 안전사고 예방, 부처간 협업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윤 장관은 이날 업무보고를 통해 해양플랜트, 조선, 관광 등이 첨단 해양클러스터 안에서 결합되는 ‘해양경제특별구역’(가칭)을 지정하는 사업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해양특구를 지정해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 특별 지원을 할 계획이다.
윤 장관은 아울러 영해와 배타적 경제수역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해양영토관리법 제정을 추진하고 울릉도에 해양경찰서를 올해 안에 만들어 독도 경비를 강화하는 계획도 보고했다. 또 해경의 경비범위를 한·일, 한·중 간 미획정 해역까지 확대해 불법조업 등 관할권 침범에 단호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오는 2017년까지 해경 대형 함정 10척과 항공기 10대도 증강할 예정이다.
부산항을 동북아 물류의 중심으로 육성하라는 박 대통령의 지침에 따라 해수부는 부산북항 재개발 사업과 울산항 석유산업 클러스터 등 항만 개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수중 이동통신 전송거리를 9㎞에서 30㎞로 늘리고 오는 2020년까지 세계 6번째로 6000m급 심해유인잠수정을 개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공식 데뷔 윤진숙 “해양경제특구 중점 추진”
입력 2013-04-19 18:57 수정 2013-04-20 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