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의 청와대가 현 청와대에 다 넘겼다는 ‘존안자료’는 왜 활용되지 못했을까. 박근혜정부의 ‘인사참사’가 수습국면을 맞고 있지만, 인사검증을 둘러싼 전·현 청와대 간 논쟁은 수그러들지 않는 모습이다.
민주통합당 중진 의원은 19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일 우리 당 지도부를 초청해 만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고위공직자 낙마에 대한 사과의 뜻과 함께 ‘청와대에 와보니 정말 검증자료가 없었다. 300명가량의 인사자료만 있더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녹취록 확인 결과 박 대통령이 300명을 언급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동안 청와대는 수차례 “전 정부로부터 존안자료를 받지 못했다”고 밝혀왔다. 전날 허태열 비서실장은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제일 중요한 게 인사자료인데 지난 정부가 축적한 인사 관련 자료는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되는 바람에 인수받지 못했다, 존안자료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명박정부 때 핵심 관계자는 “상당히 많은 검증자료가 현 청와대에 넘겨졌다. 기본적인 기록 외에 인물평가도 자세히 담긴 자료들”이라고 말했다. 다른 전직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우리는 검증자료를 주고 싶었다. 그런데 그쪽에서 보려고도 안 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현·전 청와대가 상반된 입장인 것은 ‘존안자료’를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시각차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명박정부 시절 청와대는 두 군데에서 인사검증 자료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은 인사대상자의 민감한 사생활 내용까지 기록된 ‘진짜’ 존안자료를 만들었고 인시비서관실은 이와 별도로 고위공직 후보군 검증파일을 작성했다. 전자는 봉인돼 대통령기록물관리소로 보내졌고 후자는 현 청와대에 넘겨졌다는 것이다.
박근혜정부 청와대가 “못 받았다”는 부분은 공직기강비서관실 자료이고, 전 청와대가 “줬다”는 부분은 인사비서관실 자료인 셈이다.
박근혜정부는 이 검증파일이 전혀 쓸모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 정부 고위공직 후보군에 올랐던 인물들은 현 정부에선 모두 대상에서 탈락했고, 실제 장·차관에 오른 인사들의 검증자료는 전무했기 때문이다. 현 정부가 자꾸 전 정부의 ‘존안자료’를 탓하는 데 따른 지적도 있다. 구여권 인사는 “공직기강비서관실의 일부 행정관은 이명박정부에서도 같은 일을 했다. 만약 현 청와대가 철저한 검증을 원했다면 이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호 백민정 기자 procol@kmib.co.kr
前·現 정부 “줬다” “안줬다” 공방 펴는 인사자료… 朴대통령 “300명 정도만 있더라”
입력 2013-04-19 18:13 수정 2013-04-20 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