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회장 “투기세력 밝히면 매각 번복”
입력 2013-04-18 18:45 수정 2013-04-18 22:12
셀트리온-금융당국 ‘공매도’ 진실게임
‘창조경제’의 대표기업으로 지목되기도 했던 셀트리온을 둘러싼 진실게임이 점입가경이다.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셀트리온은 금융당국의 직무유기를 비난하고 있다. 금융감독 사각지대에서 회사와 소액주주가 주가조작 세력의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이다. 금융당국은 셀트리온을 석연찮은 시선으로 바라본다. 장중에 기자회견을 열고 괜한 공매도 탓을 하기보다 실적 개선에 애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 땅에서 기업을 세울 꿈을 버렸다던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금융당국의 태도에 따라 매각을 번복할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자살하는 사람이 유서 쓰듯 정부에 ‘SOS(긴급구조신호)’를 보냈다. 하지만 ‘검토하겠다’는 이야기 뒤에 아무런 회신이 없었다.”
지난 16일 보유 지분 매각을 선언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18일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회사가 공매도를 이용한 투기세력에 큰 손해를 입고 있는데도 금융당국이 수수방관한다고 재차 비판했다. 그는 “2년간 지켜본 결과 악성 유언비어를 동반한 공매도 세력이 있다”며 “공매도를 1∼2개월만 정지시켜 달라고 ‘신문고’를 두드리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공매도란 주가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가 주식을 미리 비싸게 팔았다가 싸게 사들여 갚으며 차익을 챙기는 투자 방식이다.
서 회장은 금융당국의 투기세력 조사·적발이 이뤄진다면 2일 전의 폭탄선언을 뒤집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2개월 뒤 제가 이야기했던 모든 것이 사실로 확인되고, 전 국민이 이해할 수 있다면 (매각 발표를) 번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태도를 바꿔 셀트리온 공매도를 금지하고 조사에 착수, 그간의 공매도가 불공정거래였다고 인정해야만 지분 매각을 철회하겠다는 뜻이다.
셀트리온은 공매도 세력이 유방암치료제 임상실험자 사망설, 분식회계설, 경영진 해외도피설 등 각종 악성 루머를 퍼뜨리며 주가를 끌어내렸다고 본다. 셀트리온 소액주주들은 서 회장이 자사주를 계속 사들이며 주가를 떠받쳤지만, 공매도 세력에 완전히 대항하기 어려웠다고 토로한다. 자사주 매입이 금지되는 오후 2시30분부터 주식시장 종료 시점인 오후 3시 사이 주가를 끌어내리는 통정매매가 집중됐다는 주장이다.
서 회장은 기자회견 이후 제기된 각종 의혹을 악성 루머의 연속으로 판단한다. 다국적 제약사와 이면합의가 끝난 상태에서 공매도를 핑계로 삼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매각 시기를) 유럽의 승인 이후로 밝혔다”며 “미래가 약속된 기업의 경영권을 버리는 바보는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계열사 셀트리온헬스케어 적자와 관련된 분식회계설에 대해서는 “회사 특성상 최소한 9개월 분량의 재고를 갖고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