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공매도와 주가 하락은 무관”

입력 2013-04-18 18:46


셀트리온-금융당국 ‘공매도’ 진실게임

‘창조경제’의 대표기업으로 지목되기도 했던 셀트리온을 둘러싼 진실게임이 점입가경이다.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셀트리온은 금융당국의 직무유기를 비난하고 있다. 금융감독 사각지대에서 회사와 소액주주가 주가조작 세력의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이다. 금융당국은 셀트리온을 석연찮은 시선으로 바라본다. 장중에 기자회견을 열고 괜한 공매도 탓을 하기보다 실적 개선에 애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 땅에서 기업을 세울 꿈을 버렸다던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금융당국의 태도에 따라 매각을 번복할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셀트리온이 지분 매각 기자회견, 소액주주 대표 기자회견, 라디오 방송 출연으로 이어지는 언론 공세를 펴지만 금융당국은 말을 아끼고 있다. 비난이 빗발치는 데도 금융당국은 “특정 상장사에 대해 당국 조사 진행상황, 가치판단을 밝히는 것은 주가에 영향을 주는 일”이라며 ‘노코멘트’로 일관한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주장에 석연찮은 구석이 있다며 간접적으로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공매도와 셀트리온 주가 하락 사이에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는 입장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18일 “지난해 말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주주들의 요청을 받아 공매도와 주가 하락 관계를 검토했다”며 “그러나 공매도 증감과 주가의 상관관계는 ‘0’이었다”고 밝혔다. 거래소의 다른 관계자는 “공매도 주문을 현재가 이하로 낼 수 없도록 하는 규제 장치가 있기 때문에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불렀다’는 주장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셀트리온의 공매도 금지 요구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헤지 거래(가격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시장에서 주식시장과 정반대 형태로 거래하는 것) 등 공매도의 순기능을 떨어뜨릴 수 없다는 것이 첫째 이유다. 여기에 셀트리온을 공매도 금지 대상으로 선정할 기준 마련도 쉽지 않다고 본다. 거래소 관계자는 “전체 주식시장을 따져보면 셀트리온보다 공매도가 잦은 종목이 많고, 공매도가 많아도 주가가 오르는 종목도 있다”고 지적했다.

“불이 났다고 신고했는데 소방차는 오지 않았다”는 셀트리온의 지적에 대해서도 금융당국은 동의하지 않는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검사는 기소로, 판사는 판결로, 우리는 조사 결과로만 말할 뿐”이라면서도 “금융당국이 손을 놓고 있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금감원의 다른 관계자는 “공매도는 결국 회사의 펀더멘털(경영실적, 기술력 등)을 이기지 못하는 법”이라고 에둘러 비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금융투자업계 연구원은 “주식을 맡기고 금융회사로부터 빌린 돈으로 다시 주식을 사들이기보다 실적을 개선하는 게 주가를 방어하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