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소액주주 “금융당국 ‘공매도 방관’ 고발할 것”
입력 2013-04-17 18:31
셀트리온의 소액주주들이 금융당국에 공매도 투기세력에 대한 조치를 재차 촉구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외국계 제약사에 보유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선언한 뒤 나온 주장이다. 하지만 한국거래소는 셀트리온의 공매도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공매도 금지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재칠 셀트리온 소액주주 동호회 대표는 17일 서울 여의도 한국IR협의회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불법 공매도 투기세력 때문에 소액주주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며 “금융당국이 공매도 거래 금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매도란 자신이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린 뒤 매도하는 투자 방식이다. 주가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가 주식을 미리 비싸게 팔았다가 싸게 사들여 갚는 과정에서 차익을 거둔다.
이 대표는 “지난 2년간 청와대,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검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에 셀트리온 주가를 떨어뜨리는 공매도 세력에 대해 조사를 촉구했지만 ‘이상 없다’는 답변만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의 공정한 가격 형성 기능을 방해하는 정황이 있는데도 금융당국은 수수방관하고 있다”며 “직무유기가 계속되면 고발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제도상 허점으로 공매도가 주가하락의 원인이 되고 이것이 결국 소액투자자에게 손실을 가져다준다는 지적이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 신중히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거래소는 개별 종목 거래대금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3%를 넘을 경우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릴 수 있다. 셀트리온은 올 들어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비중이 6.29%로 코스닥시장 상장사 가운데 가장 높다.
하지만 거래소는 셀트리온에 대한 공매도가 주가 하락과 무관했기 때문에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서 회장과 주주들 요청이 많아 셀트리온의 공매도 금지가 필요한지 검토를 했지만 공매도의 증감과 주가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고 밝혔다. 거래소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코스닥시장에서 공매도 비중이 가장 높지만, 전체 주식시장에서는 28위 수준이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