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폭탄 테러] 오바마 외교·안보 정책 변수로 작용
입력 2013-04-17 18:06
보스턴 마라톤 폭탄테러로 미국인 사이에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곤혹스러운 입장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이 알카에다 등 반미 이슬람 테러조직이나 미국 내 자생적 이슬람 동조세력의 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오바마 2기 행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도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보스턴 폭발사건 발생 약 21시간 만에 이를 ‘테러’로 규정했다. 전날 저녁 회견에서는 “끝까지 범인을 추적해 무거운 책임을 묻겠다”고 하면서도 테러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미 언론에서는 대통령이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는 분석이 많았지만 공화당 등 일부에서는 민간인에 대해 무차별 살상이 벌어졌는데 이를 테러라고 규정하지 않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비난이 나왔다.
해외 이슬람 테러조직이든 알카에다 이념에 동조한 미국 자체 극단주의자 소행이든 이번 테러로 오바마 대통령의 대(對)중동정책이 우선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집권 초부터 미국과 이슬람 간 화해를 추진해 왔고, 집권 2기 들어서도 이란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중동 국가들과 관계 개선에 주력해 왔다.
외국 테러조직이 아닌 미국 내 자생적 테러조직의 소행으로 밝혀지더라도 오바마 대통령의 테러 대응능력이 도마에 오를 수 있다.
이와 관련,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벌써 공화당 내부에서 오바마 행정부의 안보 및 대외 전략을 쟁점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 상원 원내대표는 상원 연설에서 그동안 축소됐던 테러리스트에 대한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스턴 테러를 지목하면서 “이 같은 야만적인 공격에 직접 피해를 본 사람들에 대해 양당은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인들과 미 정부는 9·11 이전과 같은 막연한 안도감에 도취된 상태였다”고 비판했다.
한편 로버트 리스코스키 전 국토안보부 차관보는 이날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 내 급조폭발물(IED) 탐지 예산을 부시 행정부 때보다 45%나 줄였다고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폭로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