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1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공매도 때문에 해외 매각”
입력 2013-04-16 18:58 수정 2013-04-16 22:24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바이오 제약사 셀트리온이 다국적 기업에 매각된다. 셀트리온은 허위사실을 퍼뜨려 주가를 떨어뜨린 뒤 차익을 얻기 위해 공매도를 일삼는 투기세력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 당국은 이 주장의 신뢰도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에 대한 악성 루머와 공매도 때문에 정상적 경영이 어려웠다”며 “이르면 다음달 말에서 6월 초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등 계열사 주식을 다국적 제약사에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매도는 없는 주식·채권을 판 뒤 결제일이 돌아오는 3거래일 안에 주식·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는 투자 방식이다.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활용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사업자금으로 쓰일 돈 수천억원이 공매도 방어에 동원됐다”고 주장했다. 회사가 투기세력에 대항해 주가를 유지하기 위해 주식을 계속 사들이느라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실제 셀트리온은 2011년 4월 1일부터 지난 15일까지 2년간 공매도 금지 기간을 제외한 432거래일 중 412일에 걸쳐 공매도가 지속됐다.
서 회장은 2011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금융 당국에 불법 주가조작 세력을 조사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고 비판했다. 반면 금융 당국과 금융투자업계는 셀트리온과 다른 의견을 펴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주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셀트리온 주장에 대해 아무런 대응을 할 수 없다”면서도 “금융 당국이 손을 놓고 있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최근 셀트리온의 최대주주인 셀트리온홀딩스가 금융회사로부터 주식담보대출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주가 띄우기’ 목적의 기자회견을 연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날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공매도 제도 개선 필요성이 이슈로 떠올랐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공매도 규제를 강화하면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지만 개선할 점이 있는지 살피겠다”고 말했다. 진수형 한국거래소 부이사장도 “공매도 금지 조치와 관련해 금융 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