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 대화채널 열릴까… 美언론 “성사 가능성 희박”
입력 2013-04-15 18:16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공개적으로 북한 지도부에 대화를 촉구한 것을 계기로 양국간 직접 대화채널이 가동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케리 장관은 최근 4일 동안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을 순방하는 내내 한반도 긴장 상황과 관련해 북한과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15일 도쿄공대에서 행한 연설에서 “미국은 진정하고도 신뢰할 만한 비핵화 협상의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며 “북한은 이미 한 약속들을 존중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14일 저녁 기자들과 만나서는 “(대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와 적절한 환경을 필요로 한다”고 했다.
이 발언 중 ‘의미있는 조치’는 2005년 9·19공동성명과 2007년 2·13합의 등에서 북한이 공약한 비핵화 관련 조치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은 북한이 북·미 대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다. NYT는 북한이 핵보유국이라고 떠벌리면서 선군정치를 내세우는 국내 상황을 그 이유로 지적했다. WSJ도 “미국이 북한 측에 핵 포기를 요구함으로써 대화 성사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케리 장관은 또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미국은 동아시아에 배치된 미사일 방어시스템(MD)을 축소할 용의가 있다고 지난 13일 중국에서 밝혔던 발언을 진화하기도 했다.
앞서 케리 장관은 지난 13일 중국 방문에서는 중국 지도부가 공개적으로 북한을 강하게 비난해 주기를 기대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WSJ는 지적했다. 이에 대해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신화통신이 관련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 측 인사들의 발언 내용 위주로 보도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회담 과정에서 노출된 이견은 공개적으로 보도하지 않는 건 외교적 관례”라고 말했다.
소식통은 “하지만 미국과 중국은 한반도를 둘러싸고 비핵화라든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등에 있어서는 목표가 일치한다”며 “그 방법론에 차이가 있을 뿐인 만큼 구체적인 대화 과정에서 의견 일치를 본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중국런민대 미국연구소 소장 스인훙 교수는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간 전화 통화나 미국측 주요 각료의 중국 방문 등이 계속될 것”이라면서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미중간 협력은 앞으로 계속될 양국 고위층간 접촉에서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