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 정부 출범 50일, 소통 정치 뿌리 내리길
입력 2013-04-14 18:57
북한도 실익 없는 꼬투리 잡기 그만하고 대화 제의 응해야
출범 50일을 맞는 박근혜 정부가 적극적으로 소통과 대화의 정치에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정부조직 개편 협상이 지연되고 새 정부 내각 후보자들이 잇따라 낙마하면서 ‘불통’ 이미지가 국민 뇌리를 눌러왔는데 야당은 물론 북한을 향해서도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현 상황에서 매우 현명한 선택이라 평가할 만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2일 민주통합당 지도부와 처음으로 가진 공식 만찬에서 인사 문제에 대해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솔직히 사과하고 안보 및 민생 문제에 대한 초당적 지원을 요청했다.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실력이 없지 않으나 청문회에서 당황해 머리가 하얘졌다”면서 “지켜보고 도와 달라”고 말했다. 청문회에서 머리가 하얘질 정도의 인물이 일국의 장관을 할 자격이 있는지는 논란거리지만 적격성 여부는 여야 정치권이 판단할 수 있을 사안이다. 중요한 것은 껄끄러운 국정 현안에 대통령이 사과하고 협조를 당부하는 소통의 정치가 펼쳐진 점이다.
진솔한 태도는 진정성 있는 대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박 대통령은 16일 국회 각 상임위원회의 야당 간사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할 계획이며, 각 부처 장관들에게도 “여야를 막론하고 국회와 수시로 접촉해 양해와 협조를 구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의 겸허한 자세가 국정운영의 틀로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야당도 박 대통령의 소통 노력을 적극 수용해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박 대통령은 11일 국회 외교통일위·국방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과의 만찬 자리에 이어 12일 새누리당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 50여명과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도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대해 북한 측 인사들을 만나서 왜 이렇게 나오는지를 물어봐야 한다”며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방한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우리가 원하는 것은 대화를 하는 것이다. 6자든 양자든 실질적인 미래를 위해 이야기하고 싶다”고 밝혔다. 핵과 미사일을 앞세워 국제사회를 겁박하고 있는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줄 우려도 있겠지만 북한의 호전적 태도와 사뭇 다른 우리 정부의 대화와 평화를 지향하는 일관된 입장을 천명하는 것은 적절한 자세라고 볼 수 있다.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방식으로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교활한 술책”이라며 거부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 대화 가능성은 언제든 열어놓되, 도발에는 한 점의 주저도 없이 강력 대응한다는 원칙은 국민 보호 의무를 지고 있는 국가라면 당연히 취할 태도다. 이를 꼬투리 잡는 것은 소아병적 태도일 뿐 어떤 실익도 뒤따르지 않는다. 민주통합당도 든든한 안보를 전제로 대화를 해야 한다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를 높이 평가했다. 북한이 갈 길은 터무니없는 논리로 동족을 협박하는 게 아니라 대화에 응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