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북 대화 제의 거부 유감”
입력 2013-04-14 18:05 수정 2013-04-15 02:16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거부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했다. 북한은 이날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을 통해 지난 11일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대화 제의를 “교활한 술책”이라고 비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거부한 것은 참으로 유감”이라고 말했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이날 밤 청와대 브리핑에서 전했다.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에 입주한 우리 기업인들은 남북 간 합의를 믿고 공단 운영에 참여한 것인데, 인원과 물자의 공단 출입을 일방적으로 차단함으로 인해 입주기업들이 받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며 “식자재 반입마저 금지하는 것은 인도적 입장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지금이라도 북한 당국은 공단 근무자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주 수석의 심야 입장 발표는 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앞서 조평통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사 기자와의 문답에서 “북침 핵전쟁 연습과 동족대결 모략 책동에 매달려온 자들이 사죄나 책임에 대한 말 한마디 없이 대화를 운운한 것은 너무도 철면피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화 제의는) 개성공업지구를 위기에 몰아넣은 저들의 범죄적 죄행을 꼬리자르기하고 내외 여론을 오도하며 대결적 정체를 가리기 위한 교활한 술책”이라며 “그런 대화는 무의미하며 안 하기보다도 못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대변인은 “앞으로 대화가 이루어지는가 마는가 하는 것은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유감 표명이 있기 몇 시간 전 통일부 당국자는 “대화 제의를 완전히 거부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조평통 반응은) 우리 측 제의에 대한 북한의 1차적인 반응이다.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은 북한 핵 문제를 평화적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공동 행동하기로 합의했다고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13일 베이징에서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난 뒤 밝혔다.
신창호 모규엽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