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표절과의 전쟁’ 골머리

입력 2013-04-12 18:26


4월 중간고사 시즌을 맞아 대학가가 ‘표절 전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방송인 김미화, 배우 김혜수 등 연예인은 물론 스타강사 김미경, 이성한 경찰청장 등 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표절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대학들이 관행처럼 굳어진 학생들의 리포트 표절을 막아내기 위해 수천만원대의 표절검색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중앙대는 이번 학기부터 미국 하버드대,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세계 200위권 대학의 80%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블랙보드(Blackboard)’ 시스템을 112개 강좌에 적용해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물의 표절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 중앙대 관계자는 “3년간 8000만원의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교수와 학생이 낸 과제물의 표절 여부는 물론 표절 비율과 원문 출처까지 확인할 수 있어 대학가에 만연한 표절문제를 뿌리 뽑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동국대도 올해부터 온라인 강의자료 시스템 ‘이클래스(e-Class)’에 ‘수업과제 표절 방지 기능’을 추가했고, 성균관대 역시 교수·학생들이 함께 이용하는 교내 시스템에 표절방지 솔루션을 탑재해 리포트 표절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학생들이 ‘표절추방학생위원회’를 구성해 직접 표절 여부을 심사한다. 표절이 확인된 학생은 예외 없이 F학점을 받을 정도로 엄격하게 운영 중이다.

그러나 대학들이 적발에 힘쓸수록 표절수법은 더욱 교묘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표절은 범죄’라는 인식이 정착되지 않는 한 적발과 처벌만으로 표절을 근절시키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균관대 경영학부에 재학 중인 김모(25)씨는 “문서거래 사이트에서 구입한 리포트 3개 이상을 모아 짜깁기하거나, 조사나 어미 등을 바꾸면 수천만원짜리 표절검색시스템도 무용지물”이라며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조심하는 분위기지만, 이전과 특별히 달라진 점은 없다”고 말했다. 연세대 경제학과 4학년 박모(26)양은 “이전 학년도 수업 수강생들이 제출했던 리포트의 경우 인터넷상에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아 오히려 표절이 쉽다”며 “심지어 리포트 짜깁기에 능통한 휴학생들은 재학생들을 위해 리포트 대행 알바를 하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인식 개선 없이 시스템만으로 이미 대학가에 만연한 표절 문제를 완벽히 뿌리 뽑을 수는 없다”며 “신입생 때부터 학생들에게 저작권 개념과 표절의 심각성, 학문윤리 등을 가르치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