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입학 査定 놓고 거짓 일삼는 고교와 대학
입력 2013-04-12 18:54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부실한 운영이 또다시 드러났다. 감사원의 운영실태 감사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기초 자료인 학교생활기록부를 임의로 수정하는 등 문제가 곳곳에서 발견됐다. 자기소개서와 교수추천서의 절반 이상에서 표절이 의심됐다. 조사대상인 66개 대학 입학사정관의 57%가 비정규직이었고, 규정을 위반해 퇴직 후 곧바로 입시상담업체에 취업한 입학사정관도 적지 않았다. 고교와 대학 모두 편법을 동원해 입시제도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무너뜨리는 데 한몫 하고 있었던 것이다.
입학사정관제의 허술한 운영은 오래전부터 논란거리였다. 2008년 서울대 등에서 시범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들을 성적으로 줄 세우지 않고 잠재력과 소질을 보고 선발한다는 긍정적 취지 덕분에 전국 대학으로 급속히 확산됐다. 2008학년도에는 254명에 불과했던 입학사정관전형 합격자가 2013학년도에는 전체 합격자의 13.5%인 4만7000여명에 달했다.
하지만 제도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내실이 따르지 못했다. 봉사점수를 조작하거나 자기소개서를 대필하는 잘못된 행태가 이어졌고, 학생부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특정학생의 ‘스펙관리’를 위해 있지도 않은 상을 만들어 기재하는 일도 반복됐다. 심지어 수험생의 경력을 조작해 입학시키는 브로커가 등장했고 ‘대입 컨설턴트’라는 새로운 사교육 시장이 생겼다. 그 결과 입학사정관제는 공정치 못한 제도로 인식돼 서서히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정부는 제도 전반을 점검해 문제를 하루빨리 해소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도 확산에 주안점을 뒀다면 이제부터는 제대로 정착시키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기소개서, 추천서, 학생부 등을 허위로 기재할 경우 엄하게 처벌해 잘못된 관행을 뿌리 뽑고, 대학의 학생 선발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각종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당국은 허술한 실태가 계속 드러날 경우 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